권성동 "文정부 근시안적·분열적 정책이 민생고통 주범"

입력 2022-07-21 17:58:53 수정 2022-07-21 21:32:00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전 정부 실정 집중 성토, 민생 안정 약속하며 집권당 책임감 강조하기도
연금·노동·교육 개혁 필요성 강조하고 전 정부와 확연히 다른 국정 운영 다짐하기도

국민의힘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21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민생 ▷개혁 ▷혁신을 강조했다.

눈앞에 닥친 경제위기로 서민들이 고통에 신음하고 있는 상황이라 집권당의 책임감을 강조하면서 국정에 대한 협조를 당부하는데 집중했다.

특히 권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권의 실정을 강도 높게 비판한 후 확실히 달라진 국정운영을 약속했다. 다만 최근 불거진 당내 권력투쟁과 국회 원 구성 표류 상황에 대해서는 사과의 뜻을 나타내기도 했다.

권 원내대표는 "반(反)지성의 시대를 종식하고 공정과 상식을 회복하라는 국민의 목소리가 여전히 귓가에 생생하다"고 연설 시작부터 전 정부를 겨냥했다. 문재인 정부 5년을 '반지성의 시대'로 규정하면서 지난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 승리의 원동력이었던 '공정과 상식의 회복'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이다.

이어 권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 5년 내내 정치가 경제의 발목을 잡았다. '오늘만 산다' 식의 근시안적 정책, 국민을 갈라치는 분열적 정책이 바로 민생고통의 주범"이라며 "경제의 기본을 무시한 소득주도성장, 정치 논리가 앞선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으로 고용시장이 얼어붙었다"고 민주당 책임론을 주장했다.

아울러 권 원내대표는 전 정권 실정의 대표적인 사례인 부동산 문제를 꼬집었다. 권 원내대표는 "잦은 정책 변화와 '졸속 입법'으로 국민은 주거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며 "주거 사다리를 되찾아 오겠다"고 약속했다.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는 코로나19 방역과 관련해서도 전 정부의 실책이 컸다고 지적했다. 권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방역정책은 비과학적 방역이자 국민 얼차려 방역이었다"면서 "재난지원금 명목으로 나라 곳간을 털어내 국가채무 1천조(원) 시대를 열었다"고 비판했다.

특히 2019년 '탈북 어민 강제 북송'과 2020년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을 거론하며 문재인 정부의 안보 정책을 "무능함"으로 규정했다.

전(前) 정권에 대한 집중 공격을 마무리 한 권 원내대표는 민생을 알뜰하게 챙기는 포부를 드러냈다.

권 원내대표는 "우선 국민 밥상부터 신경 쓰겠다"며 ▷공공요금 인상 최소화 ▷가계 대출 부담 완화 ▷'과학 방역'을 통한 내수 경제 회복 ▷부동산 보유세 개편 등을 구체적인 과제로 제시했다.

이와 함께 그동안 미뤄 온 국가적 개혁 작업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각오를 보였다.

권 원내대표는 연금·노동·교육 개혁을 꼽으며 "문재인 정부는 회피로 일관하면서 단 하나의 개혁도 시도조차 안 했다. 이제 연금 문제는 세대 갈등을 넘어 미래를 위협하는 뇌관이 되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개혁 과제 해결을 위해 "여야 협치를 넘어선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하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대표연설에서는 '문재인 정부', '문재인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 등 문재인 전 대통령의 이름이 모두 16번 등장했다. 민주당도 12번 언급했다. '개혁'은 20번, '혁신'은 13번, '민생'이라는 단어는 9번 거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