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공무원 피격 사망사건과 관련해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 측근인 비서실장을 통해 문건 삭제를 지시한 혐의를 검찰이 포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SBS는 2020년 9월 사건 당시 세차례 관계장관 회의가 열렸던 시점을 전후해 박 전 원장이 측근인 A 비서실장을 통해 국정원이 자체 생산한 첩보 보고서를 삭제하라고 지시한 정황을 검찰이 포착했다고 보도했다.
지시는 A 비서실장을 통해 실무진에게 전해졌고, 관련 문서는 삭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일부 직원이 문건 삭제는 전례가 없다며 반발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2020년 9월 22일 해수부 공무원 이대준 씨가 피살된 지 이틀 후인 24일 오전 8시까지 관계장관 회의가 총 3차례 열렸는데, 이후 군과 해경은 이 씨의 자진 월북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검찰은 문건 삭제 과정에 박 전 원장의 지시가 비서실장을 통해 실제 이행됐는지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이날 국정원을 전격 압수수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이 자체 조사를 벌인 뒤 고발한 만큼 임의 제출 형태로 자료 제공에 협조하는 방식으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이 고발한 탈북 어민 강제북송 사건 관련 자료도 함께 제출됐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문건 삭제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 실무진 소환에 나설 계획이다.
이에 대해 박지원 전 원장은 "비서실장에게 보고서 삭제를 지시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부인했다.
한편, 같은날 국민의힘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진상 조사 태스크 포스(TF) 위원장 하태경 의원은 중앙일보 유튜브 '강찬호의 투머치토커' 인터뷰에서 "사건 당시 국정원이 만든 청와대용 보고서가 적어도 6일 치는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정원에 사건 발생 직후 사흘간 청와대 보고서 등 관련 자료를 제출해 달라고 했는데 '없다'고 하더라"며 "청와대에서 당시 관계 장관 대책회의를 연 시간이 딱 (23일) 새벽 1시였다. 박지원 당시 국정원장은 새벽 1시 직전 감청 정보를 완성해, 보고서를 들고 청와대에 간 것으로 (보이는데) 그럼 보고서가 국정원에 남아 있어야 하는데 내게 '하나도 없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 위원장은 "대북 감청 정보 보고서는 국방부와 국정원만 만들어 각각 컴퓨터와 메인 서버에 보관한다"며 "(박 전 원장은 ) 국정원과 국방부의 컴퓨터에 보관된 자료만 지우면 진실을 감추고 지나갈 수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대담하게 삭제를 강행한 더 중요한 이유는 자신들이 재집권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인 듯하다. 그러면 국정원장이 바뀌어도 드러날 일이 없으니까"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