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요건 충족하는 만19~39세 이하 미혼 청년 대상
청년 매입 임대주택 임대료는 시중 시세의 40~50% 수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전세, 매입 임대주택이 청년층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LH 대구경북지역본부(본부장 이재용)에 따르면 LH 청년임대주택은 무주택 요건과 소득자산 기준을 충족하는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 미혼청년을 대상으로 한 제도. 시중보다 저렴한 가격에 양질의 주거 공간을 제공해 사회 초년생 청년들의 주거 고민을 덜어준다는 취지에서 시작한 정책이다.
특히 매입 임대주택, 전세 임대주택, 전세형 매입 임대주택 등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게 LH 측 설명이다. 매입 임대는 LH가 주택을 매입, 보수한 뒤 그 주택을 재임대하는 형태. 전세 임대는 LH가 자체 기준에 따라 임차인이 찾은 주택을 임차인 대신 먼저 계약한 뒤 그 주택을 임차인에게 재임대하는 방식이다.
청년 매입 임대주택은 시중 시세의 40%~50% 수준 임대료를 부담하면 된다. 청년 전세 임대주택은 9천500만원 한도 내(광역시 단독 거주 기준)에서 전세금을 지원받는다. 전세형 매입 임대주택의 임대료는 시중 시세의 70~80% 수준(무주택 가구 구성원 대상)이다.
집값 상승세가 둔화됐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집값은 상당히 높은 상태. 경제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고물가, 고금리 등 대내외 경제 여건도 좋지 않은 상황이어서 저소득층 청년들이 겪는 고통은 가중되고 있다. LH의 청년 임대주택에 관심이 더 쏠리는 이유다.
일반적인 경우보다 월세와 보증금 부담이 적다는 게 이 제도의 장점. 전세 임대주택 거주자인 A(대구 수성구 황금동) 씨는 "취업 후 독립하려고 집을 찾아봤지만 사회 초년생 월급으로는 임대 시세를 감당하기 벅차 고민이 컸다"며 "이 제도 덕분에 이 집을 만날 수 있었다. 예전 전셋집보다 넓고 주거비 부담도 적다"고 했다.
한편 LH 청년 매입 임대주택에 대한 세부 정보는 LH청약센터(apply.lh.or.kr), 마이홈포털(myhome.go.kr)과 LH 콜센터(1600-100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