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윤리위 8시간 마라톤 회의 끝에 8일 징계 결정
여권 격랑 속으로…가뜩이나 대통령 지지율 낮아 국정 동력 상실 우려도
사상 초유의 집권 여당 현직 대표에 대한 중징계가 결정돼 국민의힘이 격랑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이준석 대표의 반발이 예상되는 가운데 리더십 재정립이라는 중대 과제를 두고 여권은 당분간 극심한 혼란을 겪을 전망이다.
가뜩이나 지지율 하락에 애를 먹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에게도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적잖다.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는 8일 성 상납 의혹 사건 관련 증거 인멸 교사 의혹을 받은 이 대표에 대해 '당원권 6개월 정지'라는 중징계 결정을 했다. 성 상납 의혹 자체에 대해서는 징계 심의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판단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대표 핵심 측근으로 증거인멸 의혹에 연루된 김철근 당 대표 정무실장에 대해서는 '당원권 정지 2년'으로 고강도 징계 결정을 했다.
윤리위 징계 처분은 경징계에 해당하는 경고부터 당원권 정지, 탈당 권유, 제명 등 중징계까지 총 4단계가 있다.
윤리위는 전날 오후 7시부터 이날 새벽 2시 45분까지 국회 본관에서 약 8시간에 걸친 심야 마라톤 회의를 열어 이 대표 소명을 듣고 내부 논의를 거친 끝에 이 같은 징계를 내렸다. 지난 4월 21일 윤리위 징계 절차 개시 이후 78일 만이다.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이 대표는 윤리규칙 4조 1항에 따라 당원으로서 예의를 지키고 자리에 맞게 행동해야 하며 당 명예를 실추시키거나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언행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윤리위 징계로 반 년간 직무수행이 어려워 대표직 유지가 불투명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 이에 결정이 내려진 뒤 대표직에서 물러나지 않고 총력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며 반발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KBS 라디오에 나와 "수사 절차가 시작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6개월 당원권 정지라는 중징계가 내려졌다는 것에 이의를 제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가처분이라든지 재심이라든지 이런 상황들을 판단해서 모든 조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징계 의결 즉시 효력이 발생해 당 대표 권한이 정지되고 원내대표가 직무대행을 하는 것"이라는 판단을 내놨다. 이 대표가 불복 의사를 밝혔지만 직무대행체제가 된다는 의미이다.
지지율 하락에 애를 먹고 있는 대통령실은 당 윤리위 징계 결정이 내려진 데 대해 거리를 두면서도 사태 추이를 살피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청사 출근길 약식 회견(도어스테핑)에서 이번 사태에 대해 "당원 한 사람으로서 참 안타깝다"면서도 "대통령으로서 당무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한편, 이 대표 성 상납 의혹은 대선 캠페인이 뜨겁던 지난해 12월 27일 보수 성향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가세연)'에서 처음 불거졌다.
가세연은 대선 직후인 지난 3월 30일 이 대표가 측근인 김철근 당 대표 정무실장을 통해 성 상납 증거인멸을 시도했다는 의혹도 추가로 제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