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혁신클러스터 최적지는 구미"…TK 경제계 대전과 유치전 사활

입력 2022-06-12 16:08:48 수정 2022-06-12 18:28:59

이달 중순 최종 후보지 발표…새 정부 첫 공모 국비 245억
"대전에는 방사청 이전 확정, 지역 안배 차원 구미로 와야"

지난 2019년 10월 31일 경북 구미시 구미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지난 2019년 10월 31일 경북 구미시 구미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9 대한민국 스마트 국방 ICT 산업박람회'(2019 DIEX)에서 참가자들이 LIG넥스원이 개발한 드론헌터를 작동해 보고 있다.연합뉴스

윤석열 정부의 첫 국책 공모 과제인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 최종 후보지 발표가 임박하면서 윤석열 정부 출범에 가장 큰 동의와 지지를 보냈던 대구경북(TK) 경제계가 구미 유치를 위해 막판 총력을 쏟고 있다.

지역 경제계는 구미에 방위산업 제조기반과 각종 인프라가 풍부한 것은 물론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TK 지역 유치가 걸린 첫 정부 공모 사업인 만큼 구미 유치 당위성에 더욱 목소리를 내며 사활을 거는 모습이다.

방위산업 육성으로 인한 지역 경제 파급력이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구미시와 2파전 경쟁 구도를 형성한 대전시와의 유치 경쟁도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12일 정부 등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은 구미시와 대전시를 대상으로 현장 평가까지 마치고 이달 중순쯤 최종 후보지 발표만을 남겨두고 있다.

정부는 최종 선정지에 5년간 국비 245억원을 투입해 지역특화 방위산업 부품 로드맵 수립과 국산화를 추진하고 협의체·연구실 등을 운영한다. 향후 부가가치가 높은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방산혁신클러스터가 구축되면 지역에 방산 생태계가 조성되고 관련 중소·벤처 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도 가능해진다.

또 경쟁력 있는 국내외 방위산업 기업이 모여들 기반을 마련하고, 기술과 인력을 집중 육성함에 따라 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 지역의 미래 신성장 동력까지 확보할 수 있다.

이에 경북도와 구미시를 비롯해 대구상공회의소, 경북상공회의소협의회, 구미상공회의소 등 지역 경제계는 2020년 방산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에서 경남 창원에 밀려 고배를 마신 만큼 이번엔 반드시 구미에 유치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국방 전문가들도 구미는 한화와 LIG넥스원 등 대기업 방위산업체를 중심으로 협력 중소벤처기업 250여곳에 달하고, 방위산업체들의 생산규모만 연간 4조원대에 이르는 만큼 유치 당위성은 이미 충분하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하지만 구미시와 경쟁하는 대전시 역시 지역 경제계와 똘똘 뭉쳐 총력전에 나서면서 유치전이 과열되는 분위기다.

대전세종충남경제단체협의회는 지난 8일 정부에 대전 유치를 위한 건의문을 전달하며 지역 여론 형성에 앞장서고 있고, 대전시는 새 정부 공약에 포함된 '방사청 대전 이전'과 연계해 유치 압박에 나서고 있다.

게다가 6·1 지방선거 이후 대전을 포함해 충북·충남·세종 등 충청권 광역단체장을 모두 보수 진영이 탈환했고, 이장우 대전시장 당선인이 윤 대통령의 대선 후보 캠프에 합류해 선거를 도왔다는 점에서 대구경북 경제계에서는 자칫 유치전에서 또 밀리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도 적잖게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지역 경제계 고위 관계자는 "방사청 이전이 사실상 확정된 대전과의 지역 안배 차원까지 고려하면 방산혁신클러스터는 반드시 구미에 유치해야 한다"며 "윤 대통령이 지역순회 첫 방문지로 정치적 텃밭인 TK를 가장 먼저 찾아 '제2의 새로운 도약'을 강조한 만큼 방산혁신클러스터 선정으로 지역 경제의 새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