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빨리 납품단가 연동제 입법해야"

입력 2022-06-09 16:44:54

원자잿갑 상승분을 납품단가에 반영 못한다 지적
업종별 애로사항과 불공정 피해 등 발굴 노력키로

중소기업중앙회가 9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 사무실에서
중소기업중앙회가 9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 사무실에서 '2022년 제1차 대·중소기업 납품단가 조정위원회'를 열었다.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중소기업들이 서둘러 납품단가 연동제를 입법, 시행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원자재 가격이 폭등한 탓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게 이유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이하 중기중앙회)는 9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 사무실에서 '2022년 제1차 대·중소기업 납품단가 조정위원회'를 열었다. 이 자리엔 공동위원장인 김남근 변호사를 비롯해 양태석 경인주물공단사업협동조합 이사장, 황청성 한국박스산업협동조합 이사장, 이정헌 한국공인회계사회 본부장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납품단가 조정위원회는 중소기업 납품대금 제값 받기 지원과 조정협의 제도를 활성화하려고 구성한 모임. 뿌리, 식품, 화학, 제지, 유통, 정보기술(IT), 건설 등 7개 업종 대표들과 공익위원 등 15명으로 구성돼 운영 중이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정부의 납품대금 제값받기 관련 정책방향' 발표와 함께 납품대금 제값받기 사업 추진 방향·계획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노형석 중소벤처기업부 거래환경개선과장은 "대내외적으로 중소기업에게 특히 어려운 시기인 만큼 납품단가 연동제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며 "중기부에서도 여러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했다.

업계 참석자들은 원자재 가격이 급등할 때마다 그 비용은 중소기업이 짊어져 온 현실을 비판했다. 김남근 납품단가조정위원장은 "중소기업계의 오랜 숙원인 납품단가 연동제가 반드시 시행될 수 있도록 대응 논리를 개발하고 세부 시행 방안을 마련하는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와 글로벌 공급망 붕괴 등 원자재 가격은 연일 폭등하고 있으나 중소기업 대부분은 가격 상승분을 납품단가에 반영하지 못해 경영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납품단가 연동제를 도입할 수 있게 노력하면서 업종별로 납품단가 애로사항과 불공정 피해 등을 발굴해 협동조합과 공동으로 다각적인 대응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