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부지 구조고도화사업 속도
㈜TK케미칼 구미2공장 부지, 스마트 그린 물류산업 거점 전환 등
구미국가산업단지 내 휴·폐업 공장 부지에 구조고도화 사업이 잇따라 진행되면서 노후된 공장부지가 혁신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구미산단은 1산단이 1969년부터 조성돼 50년이 지났고, 2·3산단도 조성한 지 수 십 년이 넘어 시설 노후는 물론 한계산업에 봉착해 휴·폐업한 기업이 꾸준히 늘어 유휴부지가 50여 만㎡에 달한다.
이 같은 유휴부지는 구미산단의 성장 둔화와 경쟁력 약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런 가운데 최근 구조고도화 사업이 연이어 추진돼 산업지도가 조금씩 바뀌고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북지역본부에 따르면 장기간 놀리고 있는 ㈜TK케미칼 구미2공장의 10만1천여㎡ 부지 중 5만5천여㎡ 에 대한 구조고도화사업이 최근 승인 절차를 마쳤다.
이곳엔 오는 2025년까지 물류시설이 들어서 스마트 그린 물류산업의 거점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또 나머지 부지 4만5천여㎡는 데이터센터가 들어서 IT장비 집적화 시설로 거듭날 계획이다.
또 구미 3산단 내 휴폐업 공장 A사(社)의 부지 4천500여 ㎡와 구미 1산단 내 B사 부지 8천400여 ㎡, C사의 3천510㎡ 부지는 휴폐업 리모델링 사업을 거쳐 창업기업들에게 제공된다.
또 D사의 휴업부지 3천500여 ㎡는 근로자들을 위한 복합문화센터가 건립되며, 일부 부지들은 아름다운거리, 도시숲, 근로자를 위한 쉼터 등으로 조성된다.
이 같은 구조고도화 사업과는 별개로 구미 1산단 일대는 지난해 말부터 정부가 주도하는 도시재생혁신사업이 추진돼 노후된 구미산단의 새로운 지도를 만들어 가고 있다. 국토부는 이곳에 창업기업들을 위한 공간, 행복주택 등 산업융복합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구미의 기업인, 기업지원기관 관계자들은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달 11일 구미 1산단 내 장기간 방치되는 섬유업체 옛 윤성방적㈜을 찾아 '과감한 규제철폐와 지역발전을 위한 투자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휴폐업 공장부지는 과감한 규제 개혁으로 혁신공간으로 재탄생시켜 청년층을 유입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사업은? =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과 신산업이 모이는 산업단지로 전환하기 위해 입주업종의 고도화, 문화·복지·편의시설 등 확충으로 혁신 인프라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