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민에게 듣는다] 경제·지방살리기 힘써 달라

입력 2022-05-09 18:23:06

◆조근래 구미경실련 사무국장(60)

기업들의 수도권·해외 이탈을 막고 지방에 기업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방도시가 살기 위해서는 법인세율 지방차등제가 가장 시급하다.

수도권과 지방의 법인세를 차등화해 수도권에 집중된 경제력을 지방으로 분산하고, 지방 이전 기업에는 보다 강력한 세제 지원이 필요하다.

법인세율 지방차등제는 기존 균형발전 세제지원 정책과 비교불가하며 공기업 이전보다 효과가 훨씬 큰 지방 살리기 정책이다. 법인세율 지방차등제 도입은 구미 같은 산업도시가 큰 혜택을 받을 것이다.

◆황보용 자영업(50·영천시 중앙동)

새 대통령 취임 전부터 북핵 문제와 러-우크라 전쟁 문제 등으로 물가는 치솟고 서민들의 삶은 더욱 팍팍해졌다. 취임 이후에는 뒤바뀌는 여소야대 정국과 6·1 지방선거 결과 둘러싼 정쟁 가능성 등으로 경제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걱정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오로지 국민들만 바라보고 공정과 상식을 통해 모두가 먹고 사는데 걱정 없는 나라를 만들어 줬으면 하는 바람뿐이다.

◆이길수 칠곡군재향군인회장(70)

최근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SLBM) 발사 등 한반도 안보상황이 녹록치 않다. 북한 도발에 대한 근본적 대책과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실질적 억제능력을 갖춰나가야 한다.

지금껏 우리 정부는 북한에 할 소리는 해야 하는데 배려만 하다 보니 오늘날 안보위기가 닥쳤다. 새 정부는 출범과 동시에 북핵 미사일 위협을 재평가하고 안보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해줬으면 좋겠다.

한·미·일 3국 방위 및 정보 협력의 강력한 강화가 필요하다. 우선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및 쿼드(미·일·호주·인도 안보협의체)에 참여하기를 제언한다. 이제 일본과도 화해해 안보협력을 강화할 때다.

◆박지훈 직장인(36·예천)

새 정부에서는 정치적 이념 갈등, 세대 갈등, 남녀 갈등 등 여러 갈등이 해소된 하나 된 대한민국을 만들어 줬으면 좋겠다.

특히 지역균형발전이 되면 지방에 일자리가 늘어나고 수도권 인구가 지방으로 분산되면 지역마다 한쪽으로 쏠린 정치색도 한데 섞여 지역 간 정치적 갈등도 해소될 것으로 생각한다.

◆김수희 농업인(68·안동)

농민들을 위한 직불금 규모를 5배나 늘린다고 이야기 하던데 지금처럼 수령 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로운 문제는 꼭 해결해야 할 과제다.

농민이 튼튼해야 나라도 산다. 코로나19 사태로 소비가 줄면서 농산물 가격이 급락했고, 농민들의 생계도 큰 위협을 받았다. 이상기온과 새로운 병해충의 발병으로 농민들의 수입은 갈수록 줄어든다.

새정부는 허울뿐인 지원책만 내세우지 말고 실제 농민들이 겪는 문제를 살펴보고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권오영 자유총연맹 경북도지부 청송군지회장(68)

격변하는 시대의 흐름을 잘 파악하고 코로나19로 인해 고통 받는 모든 사람들에게 명의가 돼 아픈 사람을 치유하고 좌절한 사람들에게 희망이란 선물을 줬으면 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북한 도발 등에 맞서 든든한 안보 전략으로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달라.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