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 학식. 온라인커뮤니티
서울대가 최근 학식 가격을 7천원으로 인상하면서 학생들 사이에서 '부실학식' 불만이 불거져 나온 가운데 학생들과 학내 노동조합들이 학교 측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울대 학생들과 학내 노동조합 등 18개 단체로 구성된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은 27일 학교 본부와 생활협동조합 사무처에 학생 단체급식의 품질 개선을 위한 5대 요구안을 발표했다.
이들은 오세정 총장을 향해 ▷식사 질 개선과 저가 메뉴 확충 ▷세트 메뉴에 대한 대학의 가격 보조 ▷임대료 영구 전액 면제 등 대학의 생협 재정 지원 확대 ▷인력 충원을 통한 식당 운영 개선 ▷생협 학생 식당의 대학 직영화 등 5개 사항을 요구했다.
이들은 "코로나19 시기 동안 사실상 메뉴 명칭만 바뀌는 방식으로 실질 식비가 올라왔기에 체감되는 인상은 1천원보다 훨씬 높다"며 "가격은 높아지는 데 반해 식사 질은 현저히 낮은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아무리 물가가 높아지고 있다 하더라도 학식은 대학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는 구성원들에게 필수적인 복지"라며 "기본적 후생 복지의 가격 상승과 질 하락은 학생들의 생활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생협 재정이 어려워졌다고 하더라도 대학은 비용 부담을 대학 구성원에게 전가하지 않고 기본적 복지를 보장할 책임이 있다"며 "부총장이 생협 이사장을 당연직으로 맡는 등 생협에 대한 대학본부의 정책적 영향이 압도적인 상황에서 값싸고 좋은 밥을 먹을 학생들의 권리에 대해 총장이 응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서울대 생협은 이달 1일자로 학생 식당 식대를 기존 3천∼6천원에서 4천∼7천원으로 인상했다.
그러나 대학생 익명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부실 학식'이라며 불만이 제기됐고, 일부 학생들은 학식 불매 운동까지 제안했다.
실제 서울대 총학생회가 지난 15~19일 학생 약 1천2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식대 인상 이후 실제로 학생 식당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서울대 본부는 1천∼5천원 수준의 중간 가격대 메뉴를 제공하기 위해 밀키트, 도시락 자판기 등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