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자정까지 지노위 조정 합의 못하면 파업 돌입…임금 8.5% 인상 등 요구
노조 요구안 수용하면 연간 재정지원금 194억원 증가
지난 2006년 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 이후 처음으로 대구 시내버스가 멈춰 설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노조 측의 파업 찬반 투표가 압도적인 찬성률을 기록한 가운데 임금 인상안을 두고 노사가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어서다.
파업이 현실화되면 대구 시내버스는 준공영제 도입 이전인 지난 2004년 이후 18년 만에 처음으로 운행을 중단하게 된다.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대구버스노동조합(이하 대구버스노조)는 지난 18일 진행한 총파업 찬반 투표가 찬성률 97.05%로 가결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투표에는 재적 조합원 3천266명 중 3천13명이 참여해 2천924명이 파업에 찬성했다. 반대는 66명, 무효 10명, 기권 253명 등이었다.
대구버스노조는 오는 25일 자정까지 대구 경북지방노동위원회에서 대구시 버스운송사업조합과 조정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27일 오전 4시부터 총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준공영제 도입 이전인 지난 2004년 이후 18년 만이다.
지난 2017년과 2019년에도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따른 임금 보전 등을 이유로 파업이 예고됐지만, 노사 간에 극적으로 합의하면서 '버스 대란'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다.
이번 파업에는 25개 업체, 버스 1천452대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버스노조와 성보교통노조 등 22개 업체(1천289대)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민주버스본부 소속 3개 업체 163대 등이다. 공공운수노조는 오는 25일까지 총파업 찬반 투표를 완료할 계획이다.
대구버스노조는 조합측에 ▷임금 8.5% 인상 ▷호봉별 동일한 상여금 ▷전염성 독감 격리 기간 유급 휴가 제공 등을 요구하고 있다.
다만 전국 단위 버스 파업인만큼 25일까지 서울에서 노사 합의가 이뤄지면 대구 등 타 지역도 비슷한 수준에서 타결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버스노조 관계자는 "코로나19와 대구 재정 상황을 고려해 2년 간 임금을 동결했다"면서 "인건비 과대 포장과 비효율적 노선 조정 등의 정책 실패 책임을 버스 노동자들에게 전가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버스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이번 파업의 경우 대구만의 일이 아닌 만큼 서울과 부산 등의 상황을 고려해 결정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노조 측의 임금 인상 요구가 수용될 경우 대구시의 재정지원금은 연간 194억 원 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지난해 시내버스 운영을 위해 재정지원금 1천946억원을 투입했다. 운송원가를 대구시가 지원하는 준공영제 특성 상 임금 인상분은 고스란히 운송원가에 포함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코로나19 등 시민 모두가 어려운 상황에서 시민 세금을 버스 기사 임금으로 더 지원하긴 힘들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