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10곳 중 7곳 "거리두기 완화, 혹은 폐지해야"

입력 2022-04-13 17:10:05 수정 2022-04-13 19:43:54

중기중앙회, 300개 기업 조사…"올해 매출 코로나19 전 85.7% 수준 전망"

향후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개편 방향.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향후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개편 방향.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이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완화하거나 폐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7~8일 중소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에 대한 중소기업 의견조사' 결과, 67.7%가 완화 또는 폐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점진적 완화가 39.0%, 전면 폐지가 28.7%였다.

이어 '코로나19 발생 상황과 연계해 조정'(24.3%), '현행유지'(5.7%), '점진적 강화 '2.3%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코로나19 확산 예방에 기여했는지에 대해서 응답기업의 절반(51.3%)은 '그렇다'고 답했고 15.3%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보통이다'는 33.3%였다.

매출과 고객 수에 대해서는 완만한 회복 흐름을 기대했다.

응답기업은 코로나19 전인 2019년을 100으로 봤을 때, 매출액은 2020년 78.9%에서 지난해 80.6%로 증가했고 올해 85.7%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고객 수는 2020년 78.9%, 지난해 80.0%에 이어 올해 85.4%로 내다봤다.

향후 사회적 거리두기 폐지 시 코로나19 발생 이전 경영상황으로 회복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6개월~1년 이내(30.6%)가 가장 많았다. 이어 1~2년 이내(26.4%), 3~6개월 이내(16.6%) 순이었다. 지난 2년간 가장 도움이 된 정부·지자체 지원시책은 영업손실 보상(13.3%), 고용유지 지원(13.0%), 방역·진단용품 지원(6.7%) 순으로 답했다.

다만 응답기업의 절반 이상(57.3%)은 지원제도를 이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유로는 10곳 중 9곳 이상(93.6%)이 '지원대상 아님'을 꼽았다. 소상공인 피해보상이 적정했는지에 대해선 부족했다는 의견이 49.0%로, 적정했다는 응답(12.0%)을 크게 상회했다.

소상공인 피해보상이 적정했는지에 대해서는 부족했다는 의견이 49.0%로 적정했다는 응답(12.0%)을 크게 웃돌았다.

소상공인 활력 회복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가장 우선으로 지원해야 할 정책으로는 자금지원 확대(47.3%)가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 상환 유예(20.7%), 고용유지 지원 확대(20.3%) 등의 순이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윤석열 당선인이 소상공인 손실보상과 피해 지원을 약속했고, 필요성에 대해 여야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만큼 조속히 추가지원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