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 수입단가지수 6개 분기 연속 오름세
3월 식용 밀 수입단가 1년 전보다 58.3%↑
2분기에도 수입 곡물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국내 식품 물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
7일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에 따르면 2분기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식용 158.5, 사료용 163.1로 전분기에 비해 각각 10.4%, 13.6%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 곡물 가격을 지수화한 이 수치는 2015년 수준을 100으로 책정한 뒤 비교를 한다. 2분기에는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에 구매한 물량이 반입된다.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식용과 사료용이 모두 상승세다. 지난해 1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6개 분기 연속해서 오름세를 보이는 중이다.
2분기 식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1년 전에 비해 43.7% 올랐다. 코로나19가 퍼지기 시작한 2년 전보다는 58.2% 높다.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1년 전보다 47.3%, 2년 전보다 64.1% 각각 올라 식용보다 상승폭이 더 컸다.
농업관측센터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세계 곡물 가격 상승과 해상운임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2분기에는 주로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 구매한 물량이 반입된다.
수입 곡물의 가격 상승은 이를 원료로 사용하는 국내 식품의 가격에 고스란히 반영된다. 곡물을 수입해 제품을 생산하는 식품기업이나 외식업 자영업자, 농가 등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고, 나아가 서민들의 '밥상 물가'에도 비상이 걸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실제로 식용 밀의 경우 지난달 수입단가가 t(톤)당 448달러로 전월보다 10.6% 상승했다. 이는 1년 전 가격을 58.3%나 웃도는 것이다.
콩(채유용)은 t당 600달러로 전월보다 1.7% 올랐고, 옥수수는 t당 348달러로 1.1% 하락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콩(채유용)은 18.8%, 옥수수는 31.3% 각각 상승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