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특수 의료체계에서 일상 의료체계 점진적 추진
코로나19 확진자가 일상적으로 동네 병·의원에서 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체계가 도입된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28일 중대본 회의에서 "코로나19가 아닌 질환에 대해 대면진료를 받으실 수 있도록, 외래진료센터 신청대상을 모든 병·의원으로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병원급은 오는 30일부터, 의원급은 내달 4일부터 신청할 수 있다"고 했다. 이번 조치는 확진자도 모든 병·의원에서 1차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외래진료센터는 코로나19에 확진된 재택치료자가 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 이날 현재 전국에 263곳이 있다.
권 1차장은 "지난 8일 의료기관 내 확진자 격리 수준을 완화해 일반 의료체계 내에서 확진자 진료가 가능하도록 지침을 개정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외래진료센터 확충에 대해 손영래 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현재는 특수한 의료체계에서 코로나19를 진료하고 있는데, 일상적인 의료체계에서 코로나19 진료가 이뤄지도록 하는 과정"이라고 했다.
정부는 외래진료센터 신청·접수와 대면진료 수가, 입원 연계 체계 등 세부 내용을 의료계와 논의한 뒤 별도로 발표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