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별진료소 신속항원검사 중단 검토…"지자체 의견 수렴 중"

입력 2022-03-26 07:19:03

25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 광장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이 신속항원 검사를 받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3만9천514명, 사망자는 393명, 위중증 환자는 1천85명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25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 광장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이 신속항원 검사를 받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3만9천514명, 사망자는 393명, 위중증 환자는 1천85명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정부가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진행 중인 신속항원검사(RAT)를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적용 시점은 내달 초가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5일 보건소 선별진료소 신속항원검사 중단 방안에 대해 "지방자치단체 의견을 수렴한 이후 관계 부처 등과 검토 중"이라며 "결정되면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미크론 대유행에 따라, 환자 급증세가 이어지면서 보건소의 업무부담이 가중되고 있고, 동네 병·의원의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체계가 어느 정도 안착됐다는 판단에서다.

동네 병·의원에서는 한번의 검사만 해도 확진 판정이 되지만, 선별진료소에서는 항원검사에서 양성 판정이 되면 PCR검사를 재차 해야한다. 이 때문에 보건소 측에서는 PCR검사만 집중하게 되면 인력 활용 면에서 유리하다는 주장도 있다.

앞서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가 급속도로 점유율을 높여가던 올 1월 말부터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기존 PCR검사 외 신속항원검사도 함께 진행해 왔다. 처음엔 경기 평택·안성, 광주·전남 등 우세지역부터 시작해 전국 선별진료소·임시선별검사소로 시행을 확대했다.

체계 개편에 따라 PCR검사는 60세 이상 고령자, 의사 소견서 지참자, 밀접 접촉자 등 역학적 연관자, 감염 취약시설 접촉자 등만 우선 받을 수 있다. 그 외 대상은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된 경우에만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기일 제1통제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신속항원검사) 중단 방안에 대해서 아직 논의가 진전되고 있지는 않다"면서도 "전반적으로 우리의 PCR 용량이라든지, 의료기관의 신속항원검사라든지 그런 것(실시현황 등)을 보고 결정할 사항이라 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