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2일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지만 헌법이 대통령에게 부여한 국가원수이자 행정수반, 군 통수권자로서의 책무를 다하는 것을 마지막 사명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전날 청와대가 '안보 공백'을 이유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정부 출범 전 대통령 집무실 서울 용산 이전 계획에 제동을 건데 이어 문 대통령이 또 한 번 부정적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국정에는 작은 공백도 있을 수 없다. 특히 국가안보와 국민경제, 국민 안전은 한순간도 빈틈이 없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우리 군이 최고의 안보 대비태세를 유지해야 할 때다. 안보에 조그마한 불안 요인도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각 부처도 국정에 흔들림 없이 매진하면서 업무 인수인계 지원에 충실히 임해 주길 당부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윤 당선인의 집무실 이전 구상에 대해 처음으로 공개 발언한 것이다. 청와대는 전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관계장관회의 결과를 전하는 형태로 "촉박한 시일 안에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하겠다는 계획은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며 윤 당선인 측의 속도전에 공개 반대했다. 이어서 문 대통령은 '헌법이 부여한 대통령의 권한과 책무'를 언급, 평소 윤 당선인 강조한 헌법정신을 명분으로 회의적 입장을 거듭 피력한 것이다.
현재 청와대는 정권 교체기마다 도발을 반복해 온 북한의 위협을 대비해야 하는 시점인 만큼 국방부와 합참 등의 연쇄 이전을 하기에는 시점이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윤 당선인이 군 통수권자이자 현직 대통령인 문 대통령과 상의도 없이 임기 전 대통령 집무실을 국방부 청사로 이전할 계획을 일방적으로 발표하고, 이를 밀어붙이는 이른바 '패싱'에 불쾌감을 숨기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청와대와 문 대통령이 윤 당선인의 역점 추진 사안에 연일 공개 반대 입장을 표명하면서 정치권에서는 정권 교체기에 신구 권력이 충돌하고 정국이 급랭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한편, 이날 국무회의에서는 일반 안건으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운영경비가 포함된 '2022년도 일반회계 일반예비비 지출안'에 대한 심의도 했다. 인수위 활동비 등 27억600만원을 일반 예비비에서 지출하기로 해, 지난 1차 배정(예우보상금, 사무실 설치비 등 31억6천500만원)을 포함하면 모두 58억7천만원을 지원한다. 전날 청와대가 예고한대로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필요한 예비비 496억원 편성안은 상정되지 않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