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인원 목표의 3%에 그쳐…사전등록 기간 연장
러시아, 국제가스연맹 잠정 제외…“경제제재 계속되면 불참 가능성”
70여 일 앞으로 다가온 대구 세계가스총회에 비상이 걸렸다. 코로나19로 등록률이 저조한 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 기업의 참가마저 불투명해졌다.
8일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세계가스총회 참가등록 인원은 목표(4천800명)의 3%에 불과한 124명에 그치고 있다. 가스총회 조직위원회가 이날 대구시청 브리핑에서 밝힌 등록인원은 220명으로 이보다 많았지만, 여전히 목표에 한참 못 미친다. 이에 대구시는 사전등록(얼리버드) 기간을 이달 말까지로 연장했다.
대구시는 회의 참가 대상자들이 한국의 코로나 상황을 주시하며 의사결정을 보류한 탓으로 보고 있다.
이현모 대구시 세계가스총회지원단장은 이에 대해 "참가 등록자들이 관망하고 있는 것 같다"며 "다만 최근에 격리면제가 확정되면서 행사가 다가올수록 막판에 등록자가 몰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이어 "전시장 판매가 현재 80% 정도 완료됐고 숙박이나 교통대책도 계속해서 보완하고 있다"며 "전차 대회인 워싱턴 총회 만큼의 규모로는 행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문제는 계속되는 러시아발 전쟁 상황으로 러시아 기업의 참가 여부를 알 수 없다는 점이다.
박봉규 가스총회 조직위원장은 "지난주 러시아는 국제가스연맹(IGU) 멤버에서 제외됐다. 조직위는 러시아 기업의 참가를 기대하지만 국제적인 경제제재가 계속되고 정부 방침이 나오면 불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현재 러시아에서는 국영가스기업 가즈프롬과 민간기업 노바텍의 참여가 예정돼 있다. 두 기업에서만 100여 명의 인원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까지 참가 의향은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즈프롬의 경우 이미 노르트스트림2 프로젝트 중단과 국제 은행 간 통신협회(SWIFT) 제재 등 위기에 직면해 있어 현 상황이 계속되면 가스총회 참가가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권영진 대구시장은 추진보고회에서 "어떤 대내외 어려움 속에서도 가스총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도록 모두가 힘을 모아주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