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도 안 돼 경북산림 1만여㏊ 잿더미…인명피해 없지만 다수 이재민 발생
6일 정부 특별재난지역 선포로 그나마 숨통
연초부터 영덕·고령 대형산불에 이어 울진에서 역대급 초대형산불이 잇따르면서 경상북도가 피해 복구에 막막한 심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로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그나마 숨통이 트였지만 향후 수십 년이 걸릴 산림 복구의 험난한 길 걷기가 불가피하다.
6일 산림당국 등에 따르면 올해 경북에서는 이달 5일까지 53건의 산불이 나 경기(50건)를 제치고 전국에서 발생 건수가 가장 많다. 지난달 15일 영덕산불, 28일 고령산불에 이어 이달 4일 울진산불까지 대형산불이 연이어 발생하자 관계 당국은 어디서부터 복구를 시작해야 할지 엄두를 내지 못하는 여건이다.
영덕산불은 피해정밀조사가 진행 중이며 고령산불 조사가 진행되려는 찰나에 울진산불까지 발생해 산림당국을 절망에 빠뜨리고 있다.
경북도 한 관계자는 "도내에서는 2020년 안동산불로 2천㏊에 가까운 피해를 봤고 지난해에도 안동, 예천에서 대형산불을 겪었다. 올해까지 다수 대형산불이 잇따르니 당황스럽기까지 하다"면서 "울진산불 진화가 마무리되면 산림청, 시군, 산림 전문가 등과 함께 피해정밀조사, 복구계획 마련 등 후속조치가 진행될 것"이라고 했다.
정부의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망연자실한 지역 민심에 그나마 위로가 되고 있다. 대형산불로 인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경북도 최초이며 전국으로도 2000년 동해안 산불, 2005년 양양산불, 2019년 동해안 산불에 이은 네 번째 사례다.
정부가 산불로 피해를 본 주택 등 사유시설 및 공공시설 피해 복구비 일부를 국비로 지원하는 만큼 경북도, 울진군 등 지방자치단체는 재정 부담을 덜게 됐다. 주민들도 생계구호를 위한 재난지원금과 함께 지방세 납부유예, 공공요금 감면 혜택 등 간접 지원을 받는다.

다만 경북도는 피해 복구비에 대한 국비의 일부 지원에 더해 지방이 부담하는 비용도 정부가 도움을 주길 기대한다. 최근 잇따른 산불로 지역 내 피해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이재민 대책 마련도 큰 고민이다. 이번 산불로 발생한 이재민 수백 명이 울진군민체육센터, 인근 초등학교, 마을회관 등 분산돼 임시로 거주하고 있는 여건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6일 오전 상황회의를 열고 주택 피해를 입은 이주민에 대한 특단의 지원책 마련을 지시했다. 이 도지사는 "이재민을 위해 전국을 다 뒤져서라도 임시주택 100채 이상을 당장 준비하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