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도 한때 배럴당 100달러 돌파했지만 상승 폭 반납
미국 뉴욕 증시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장 초반 하락하는 등 불안한 장세를 보이다 이내 반등,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24일(현지시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2.52% 떨어진 4,155.7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17% 급락한 12,587.88로 출발했다.
그러나 투자자들의 공포감이 진정됨에 따라 하락 폭이 줄어들었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대국민연설에서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발표한 이후에는 주요지수가 모두 상승세로 반전했다.
결국 나스닥은 전장보다 435.97포인트(3.27%) 상승한 13,464.29에, S&P500은 62.62포인트(1.50%) 상승한 4.288.12에 마감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2.4% 급락한 채 시작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도 86.95포인트(0.26%) 반등한 33,218.71로 장을 마쳤다.
특히 투자자들은 최근 주가가 하락세였던 빅테크 주식에 관심을 보였다.
이에 따라 넷플릭스는 6%, 마이크로소프트 5%, 아마존은 4%대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국제 유가도 장중 폭등세를 보였지만 이후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한때 9% 이상 오르면서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하기도 했지만, 결국 전장보다 71센트(0.8%) 오른 배럴당 92.8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WTI 가격이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선 것은 2014년 이후 처음이다.
브렌트유 4월물 가격도 장중 한때 105.75달러까지 치솟았으나 마감 시점에 10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