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대표 공언 무색…윤미향·박덕흠·이상직 제명안 '대선전 처리' 사실상 무산

입력 2022-02-21 16:49:22 수정 2022-02-21 17:10:34

지난달 27일 윤리위 상정 이후 소위 한차례도 열지못해

박덕흠, 윤미향, 이상직 의원. 연합뉴스
박덕흠, 윤미향, 이상직 의원. 연합뉴스

무소속 윤미향·이상직 의원과 국민의힘 박덕흠 의원에 대한 국회 제명안의 대선 전 처리가 사실상 불가능할 전망이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앞서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상정됐던 이들 국회의원에 대한 징계안은 소위원회 의결 등 후속 절차에 착수하지 못하고 있다.

국회 윤리위는 지난달 27일 전체회의를 열어 징계안을 상정, 소위원회를 열고 징계안을 심의하기로 의결했지만 지금까지 단 한 차례도 소위를 열지 못했다.

제명안이 처리되려면 소위원회가 본격 심사에 착수해야 하고, 윤리특위 전체회의와 국회 본회의를 본회의에서 재적의원의 3분의 2 이상 찬성 표를 얻어 통과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그러나 통상 대선을 앞두고 상임위원회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는 터라 대선 전 처리는 사실상 무산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달 25일 이른바 '쇄신안'을 발표하며 "윤미향·이상직·박덕흠 의원의 제명안을 신속히 처리하겠다"면서 신속 처리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윤 의원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대표 재임 중 정대협 기부금과 단체 자금을 유용했다는 등 의혹과 관련해 지난해 9월 국민의힘 주도로 징계안이 발의됐다.

박 의원은 국회의원의 지위를 남용해 가족 회사가 피감 대상 국가·공공단체와 계약을 맺고 재산상 이익을 취득할 수 있도록 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지난해 10월 민주당 주도로 징계안이 발의됐다.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 의원은 주식 매각 및 백지신탁 관련 공직자윤리법 위반을 사유로 징계안이 지난해 6월 접수됐다.

이에 윤리특위는 지난해 11월11일 전체회의를 열어 해당 의원들에 대한 징계안을 상정하고 윤리심사자문위원회로 심의를 넘긴 바 있다.

윤리심사자문위는 지난달 5일 회의를 열어 이들 의원에 대한 제명안을 심사한 결과 만장일치로 제명을 의결하고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의견을 회신했다.

한편, 국회는 지난 1991년 윤리특위가 설치된 후 아직까지 의원을 제명한 사례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