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히 의외" 공식 반응…安 '책임 떠넘기기'엔 "전형적 구태" 격앙
安 지지율 추가 하락 전망…일단 '자력 1위' 독주에 주력 기류
국민의힘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야권 단일화 제안을 철회하자 당혹한 기색을 내비쳤다.
그간 정권 교체를 목표로 야권 단일화 논의를 비교적 원활히 이어왔다고 자부했던 만큼 안 후보의 '마이웨이'를 두고 또 다른 가능성을 보는 시선과 탐탁찮은 심기가 동시에 드러나고 있다.
이양수 선대본부 수석대변인은 20일 오후 국회 브리핑에 이어 기자들에게 "사실 안 후보의 오늘 기자회견은 저희로선 상당히 의외였다"고 밝혔다.
선대본부는 윤석열 후보와 참모들이 안 후보의 단일화 제안 이후 여러 경로로 진정성 있게 응했다며, 걸맞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아쉬워하는 분위기다.
물밑에서 상당 수준 공감대를 이뤘다고 보는 일부 인사들은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특히 안 후보가 회견에서 "윤 후보가 일주일이 지나도록 가타부타 아무런 대답이 없었다"며 책임을 넘긴 것이 마뜩찮은 모양새다.
선대본부 한 관계자는 "안 후보의 시각이 미숙하고 극단적으로 자기중심적이다. 균형 감각을 상실했든지 전형적인 구태 정치를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 중진 의원도 "안 후보와 그동안 같이 일했던 사람들이 왜 대화할 가치가 없다고 하는지 이제 이해가 된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안 후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측과 교감하면서 야권 단일화 의지를 꺾었거나, 코로나19 확진으로 입원했던 부인 김미경 씨가 퇴원한 뒤 그의 영향으로 노선을 급변경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내놨다.
이 후보 측 고위 관계자와 안 후보가 만났을 것이라 추정하는 시점이나, 김 씨가 퇴원한 날을 전후해 안 후보 측 기류가 달라졌다고 보기 때문이다.
다만 국민의힘 선대본부 측은 '지지율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 보고 있다.
대선이 임박할수록 양강 후보에게 지지층이 더욱 결집하며 제3지대가 좁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안 후보 지지율이 5% 안팎으로 내려앉을 경우 단일화 필요성도 약화할 전망이다.
윤 후보의 한 특보는 "단일화 시 자기한테 정치적으로 기회가 열릴 것이라 생각했던 사람들이 안 후보 캠프에서 이탈할 수 있다. 오늘 회견은 안 후보 지지율이 더 빠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후보는 당분간 단일화 언급을 피하고 자력으로 이재명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를 벌리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한 당직자는 "국민에 의한 야권 강제 통합이라면 모를까 더는 안 후보에게 휘둘리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우리 선거운동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했다.

다만, 국민의힘이 단일화 문을 아예 닫아버린 것은 아니다.
이 수석대변인은 "정권 교체를 요구한 국민께 실망을 드려선 안 될 것이다. 정권 교체를 위해 앞으로도 계속 함께 노력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은혜 공보단장도 "애초 단일화 목적은 정권 교체다. 잠시 냉각기를 갖더라도 이대로 끝은 아닐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투표용지 인쇄일(28일)이나 사전투표일(3월 4∼5일)을 넘어 대선 전날(3월 8일)까지도 야권 단일화 이슈가 완전히 잦아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핵심 관계자는 "안 후보 측 핵심 관계자들이 단일화 협상 2탄을 준비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정치적으로 사망할 것을 알기 때문에 뭔가 도모하려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날 KBS에 출연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안 후보가 유세버스 사고로 숨진 고인의 유지를 들어 완주 의사를 밝힌 데 대해 "고인이 불시에 돌아가셨는데, 고인의 유지를 어디서 확인하나", "국민의당 유세차를 운전하는 사람들은 들어가기 전에 유서 써놓고 가시나"라고 발언해 논란이 일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