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신도시 인구 증가세 감소 요인…'전입인구는 줄고 전출인구 늘고'

입력 2022-02-06 12:59:58

정주여건 아직 부족하다...원래 살던 도시로 떠나는 주민들

경북도청 신도시 2단계 부지.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신도시 2단계 부지. 매일신문DB

1년 전 기러기 아빠 생활을 끝낸 A씨는 최근 다시 기러기 신세가 돼 우울하다. 경북도청 신도시와 대구를 오가면 기러기 생활하던 그의 가족들이 도청 신도시로 합가한지 1년도 되지 않아 다시 대구로 떠났기 때문이다. 가족이 함께 살기 위해 신도시에 집은 큰 곳으로 옮겼고 대구에 살던 집은 팔아 손해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A씨는 "대구에서 살다가 온 초·중학생 두 자녀와 아내가 신도시의 부족한 정주 여건에 늘 불만을 늘어놔 말다툼이 잦았다"며 "교육 환경도 차이가 크고 필요한 물건들을 오프라인으로 당장 구매할 수도 없는 등 많은 불편을 느껴 결국 아내와 자녀가 다시 대구로 가게 됐다"고 말했다.

경북도청 신도시에 살던 주민들의 탈도시가 잇따르고 있다. 도청 신도시 보다 정주여건이 잘 갖춰진 기존 거주 도시로 '유턴'하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경북도 등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간 경북도청 신도시 총 인구는 2만1천168명에서 2만1천245명으로 77명 증가했고 이 기간 전입인구는 557명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전입인구가 557명 늘었지만 인구 증가가 77명에 그쳤다는 것은 이 기간 470명이 신도시를 빠져나갔다는 것이다.

이들이 경북도청 신도시를 떠나는 큰 이유는 정주 여건이다. 열악한 환경의 의료와 교육 시설, 비싼 상가 임대료, 각종 편의시설 부족 등이 신도시로 왔던 이들의 발길 다시 되돌리고 있다.

최근 신도시에 학원을 폐원한 B씨도 학원을 접으면서 신도시를 떠났다. 경북 예천 원도심에서 학원 운영하던 그는 신도시에 2호점 내면서 집도 이사를 했지만, 비싼 상가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결국 2호점 문을 닫으며 집도 다시 원도심으로 이사를 했다.

그는 "시장 원리에 따라 여러 분야의 민간 사업자들이 도시의 정주여건을 만들어 가는데, 신도시는 집값과 임대료 등에 거품이 많아 민간 사업자들이 들어오기 어렵다"면서 "아직 신도시 인구는 읍 단위 정도인데도 임대료는 대구와 같은 대도시 수준이라서 굳이 리스크 를 떠안고 소도시에서 사업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경북도 관계자는 "신도시 1단계 살 수 있는 한정된 가구 수에 따라 인구 증가도 한정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서 빠져나가는 인구 수 만큼 빈 자리에 인구가 채워지는 것"이라며 "2단계가 개발이 이뤄지고 주거 시설이 늘어나면 자연히 인구는 늘어나고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정주 여건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