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구 통합지하화 사업' 추진에 시민단체 반발

입력 2022-01-23 15:47:14 수정 2022-01-23 17:20:4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경실련 "민간에 맡길 수 없다"…대구시 "전문가 협의체 통해 검증"

서대구 하·폐수처리장 통합지하화 사업 조감도. 대구시 제공
서대구 하·폐수처리장 통합지하화 사업 조감도. 대구시 제공

서대구KTX역 인근 노후 하·폐수처리장을 통합하는 '서대구 통합지하화사업'을 두고 시민단체가 민영화를 우려하며 반발하고 있다.

21일 대구시는 지난 2018년부터 준비한 '서대구 하폐수처리장 통합지하화 민간투자사업'의 행정절차를 모두 마쳤다며 제3자 제안공고를 통해 최종사업자를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올해 상반기로 예정된 서대구역 개통을 대비해 역사 인근에 자리잡은 노후화된 하폐수처리장 4곳을 북부처리장 부지로 통합·지하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구시는 하폐수처리장 시설공사가 조달청에서 고난도 공정으로 분류된 만큼 누적 실적이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업체만 참여토록 했다. 단순 지하화가 아닌 고온 염색폐수의 안전한 처리가 우선인 점을 고려해 시설 지하화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한 후 시공하도록 공고문에 명시했다.

같은 날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대구경실련)은 입장문을 내고 민간에 하폐수처리장의 건설과 운영을 맡길 수 없다고 반박했다. 사회기반시설이자 환경기초시설인 하폐수처리장을 두고 민영화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연재해나 사고로 인한 인위적 가동 중단 등의 비상사태에 대한 대비책이 미비하다고도 지적했다.

조광현 대구경실련 사무처장은 "제3자 제안공고 이후 후속조치는 한국환경공단이 수행한다. 대구시민은 정보에 대한 접근이 어려울 수 있다"며 "'사업자 지정 사항'에 대한 의회보고 절차가 있지만 이는 단순히 형식적인 절차에 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대구경실련은 정보 공개와 사업의 원점 재검토를 요구했다. 조 사무처장은 "대구시의회는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이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손강현 서대구역세권개발과장은 "오는 2월부터 한국환경공단, 대구환경공단, 염색공단, 물인증기술원에 더해 상하수도 전문가들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했기에 검증 체계는 문제가 없다"며 "정해진 법과 절차에 따라 사업을 진행했다. 3자 공고가 난 이후에는 관련 규정에 따라 건설기술심의 등을 통해 공개가 가능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