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이 검은색인 호랑이는 발견된 사례 없어
검은 줄무늬가 넓은 벵갈호랑이를 흑호로 부르기도
2022년 새해는 '검은 호랑이의 해'로 불리면서 관심을 모은다. 하지만 검은 호랑이가 실존하는 동물인지에 대해선 아직 공유된 정보가 많지 않은 듯하다.
올해가 '검은 호랑이의 해'라는 건 연도와 날짜, 시간을 계산하는 전통 역법(曆法)인 60갑자에 근거를 둔 말이다. 60갑자는 음양오행을 표시하는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십간(十干)과 열두 동물을 가리키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십이지(十二支)가 조합해 만들어지는 60개의 간지(干支)를 뜻하는데, 2022년은 그중 39번째인 임인년(壬寅年)에 해당한다.
임(壬)은 우주 만물을 이루는 5가지 원소인 오행(五行) 중 물(水)을, 5가지 방위를 뜻하는 오방(五方) 중에선 북쪽을 상징한다. 동서남북에 중앙을 더한 오방에는 정해진 색상이 있어 오방색이라 하는데 북쪽은 흑(黑)색이다.
여기에 열두 동물 중 호랑이를 지칭하는 인(寅)이 결합해 '검은 호랑이'가 된 것이다. 역법에 따르면 인(寅)이 들어가는 '호랑이해'는 12년마다 돌아오는데 2034년은 청호(靑虎), 그다음은 적호(赤虎), 황호(黃虎), 백호(白虎)가 된다.
단군신화에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두 번의 국내 올림픽 마스코트로 지정된 데서 알 수 있듯, 호랑이는 어떤 동물보다 우리에게 친숙하다. 때론 호환(虎患)을 부르는 공포의 대상이었지만 잡귀와 액운을 물리치는 영물로 숭상됐다. 호랑이 설화나 민담, 민화는 수도 없이 많고 삼재(三災)를 막는 부적에도 쓰였다.
그렇다면 '검은 호랑이'는 실제 존재하지 않는 상상 속의 동물일까? '백두산 호랑이'로 불린 시베리아(아무르) 호랑이 12마리를 보유한 서울동물원 관계자는 "흑호는 청룡이나 백호처럼 중국 음양오행설에서 유래한 상상의 동물로 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