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의 장기침체 배경에 대해 패스트 패션 브랜드 '유니클로'의 야나이 다다시(72) 패스트리테일링 회장 겸 사장이 '헝그리 정신'이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30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야나이 회장은 인터뷰에서 "(일본의 장기침체는) '헝그리 정신'이 없기 때문"이라며 이젠 안정된 직업이 없는데도 여전히 국민은 안정된 일자리를 찾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모든 산업이 정보산업과 서비스산업이 될 것"이라며 디지털을 활용해 세계시장에서 효율적으로 돈을 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야나이 회장은 미·중 간 대립의 골이 깊어지는 것에 대해서도 "현실을 보면 좋겠다"며 두 나라가 대립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분석했다. 여전히 미국 금융자본이 중국 투자 자금으로 흘러 들어가고, 미국 애플 등의 제품이 모두 중국에서 만들어지고 있다는 게 그가 든 근거다.
이어 미·중 갈등 속에서도 중국의 대미 수출액이 늘고 있고 두 나라의 관계가 경제적으로는 잘 돌아가고 있다며 "(잠재적 라이벌을 때리는) 미국의 속내를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과거에 일본도 지금의 중국과 같은 일을 겪었다는 것. 그는 일본 경제가 미국을 위협할 정도로 잘나가던 시절, 미국에선 일본 자동차를 부수고 도요타자동차의 리콜과 관련해 대응을 잘못했다며 공청회로 불러냈다고 했다.
야나이 회장은 미국과 중국의 틈새에 낀 일본 기업의 생존 전략에 대해 "일본에는 원래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며 "세계 인재를 불러들이고 일본인을 세계로 내보내는 열린 나라가 아니면 (일본은) 살아남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일본이 쇄국(鎖國) 상태가 됐고, 이 때문에 IT(정보기술) 고급 인력의 입국이 어렵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어 저출산·고령화가 심화해 수출까지 어려워지면 돈을 벌기위해 해외로 나가는 일본인들이 많아져, 일본 내에는 노인들만 남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야나이회장의 거침없는 비판은 이전에도 있었다. 이와 함께 일본 기업 오너들이 최근 몇년간 공개적으로 정권에 비판을 날리고 있는 것에 눈에 띈다.
야나이 회장은 2년전에는 아베노믹스를 부정하기도 했다. 그는 "주가라는 것은 나랏돈을 풀면 어떻게든 부양할 수 있는데, 그것 말고 성공한 게 더 있느냐?"며 "기업과 개인들이 할 말을 확실히 하지 않으면 일본은 망하고 말 것이다"고 밝혔다.
아베 정권 말기였지만 아베 총리의 영향력은 여전히 공고할 때였다. 그는 갓 취임한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야심작으로 삼은 여행비용 지원정책에 대해서도 "나랏돈은 어려운 사람을 돕기 위해 써야 하지, 용도가 잘못됐다"고 공개적으로 꼬집었다.
도요타의 도요다 아키오 사장 역시 지난 2월 모리 요시로 당시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 회장의 여성 멸시 발언 직후 "도요타가 세상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알리기 위해 침묵해선 안 된다"며 회장직에서 물러날 것을 압박했다.
소프트뱅크그룹 손정의(손마사요시) 회장도 수차례 일본의 낡은 시스템을 비판했다. 일본 최대 온라인 상거래 기업인 라쿠텐의 미키타니 히로시 회장은 가장 수위가 높다. "도쿄올림픽 개최는 자살행위"라고 폭탄발언을 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