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처럼 더 쉽게 퍼지지만 증상 약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새 변이주 '오미크론'이 가진 수많은 돌연변이 중 최소 한 개는 같은 감염 세포에 존재하던 감기 유발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일부를 획득해 얻어진 것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오미크론은 감기처럼 더 쉽게 퍼지지만, 무증상이나 가벼운 증상만 유발할 수 있다는 의미다.
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미국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 소재 데이터 분석업체 엔퍼런스(Nference) 공동설립자 벤키 사운다라라잔은 지난 2일 논문 사전공개사이트 'OSF Preprints' 웹사이트에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오미크론이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유전물질 일부를 자신의 내부에 삽입해 자신을 보다 인간처럼 보이게 만들어 인간 면역 체계의 공격을 회피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같은 유전자 염기서열은 앞서 나온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선 나타나지 않지만, 감기를 유발하는 다른 많은 바이러스에는 어디에나 존재하는 '유비쿼터스 유전자 세트'로, 인간 게놈에도 존재한다고 연구진은 전했다.
초기 연구에 따르면, 폐와 위장 기관 세포는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와 흔한 감기 코로나바이러스를 동시에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같은 동시 감염(co-infection)으로 바이러스 재조합이 이뤄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동일한 숙주 세포에 있는 두 개의 다른 바이러스가 상호 작용을 통해 스스로를 복제, 두 '부모'로부터 일부 유전 물질을 가진 새로운 복제본이 생성될 수 있다는 것.

이를 토대로 오미크론이 가진 새로운 돌연변이는 기존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와 감기 유발 바이러스에 동시에 감염된 사람에게서 처음 생겨났을 수 있다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아울러 연구진은 "감기를 유발하는 코로나바이러스 중 하나(HCoV-229E)와 에이즈를 유발하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서 동일한 유전자 서열이 여러 번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오미크론이 가장 많이 확산 중인 것으로 추정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높은 HIV 감염률로 면역 체계가 약해진 사람들이 많은데, 이들은 흔한 감기 바이러스와 다른 병원균이 결합될 위험이 높다.
꼭 남아공이 아니라도 이 같은 지역에서 '유비쿼터스 유전자 세트(다른 감기 바이러스에도 있고 인간 세포에도 있는 유전자 서열)'가 오미크론과 만나 재조합이 일어났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연구진은 "우리는 아마도 거듭되는 많은 재조합을 놓쳤을 것"이라며 "그러는 사이 시간이 흘러 오미크론이 출현하게 됐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연구진은 "이번 연구로 현재 사용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의 중요성이 분명해졌다"면서 "면역이 손상된 사람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을 줄이려면 백신을 맞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아직 동료 검토(피어 리뷰)를 거치진 않았다고 SCMP는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