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분류된 '과메기 상자', 생산 조합 "올핸 자비 처리"

입력 2021-12-05 12:12:53 수정 2021-12-05 20:30:19

앞·뒷면에 파라핀 재활용 못 해…구룡포 곳곳에 수개월째 방치
비용만 8천만원가량 부담해야

과메기재 료가 되는 꽁치를 담은 상자가 파라핀을 입으면서 올해 폐기물로 분류됐다. 포항 구룡포 한 공터에 산처럼 쌓여가는 빈 상자. 박승혁 기자
과메기재 료가 되는 꽁치를 담은 상자가 파라핀을 입으면서 올해 폐기물로 분류됐다. 포항 구룡포 한 공터에 산처럼 쌓여가는 빈 상자. 박승혁 기자

경북 포항 구룡포 지역 곳곳에 켜켜이 쌓여가고 있는 꽁치 과메기를 생산하고 남은 상자 처리 문제(매일신문 11월 18일자 8면)가 결국 과메기 생산업자의 몫으로 돌아갔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재활용처리됐던 이 상자가 올해부터 폐기물로 분류되면서 비용과 환경오염 유발 등의 이유로 처리가 지연됐다. 상자는 꽁치에서 나오는 물이나 바닷물 등에 훼손될 것을 막기 위해 앞뒷면이 양초의 주성분인 파라핀으로 발라져 있다.

과메기 생산 조합원들은 이 상자가 수개월째 처리되지 못한 채 구룡포 곳곳에 방치돼 있는 것을 보고만 있을 수 없는 노릇이어서 올해는 자비를 털어 처리하기로 했다.

문제는 이 상자를 처리하는 과정(분쇄·소각)에서 다이옥신 등 환경오염 유발 가능성이 크고 지속적으로 처리비용이 부담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

원양어선에서 꽁치를 잡아 담아낼 때 종이박스를 도입하면 간단하게 해결될 테지만, 파라핀에 비해 2배가량 높은 제조비용 탓에 관계인들이 이에 대한 논의조차 하지 않고 있다. 답답한 조합원들은 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에 해결책 마련을 수차례 요구했지만 묵묵부답이다.

올해 조합원들이 상자 처리를 위해 내야할 비용은 8천만원가량이다. 소각으로 처리할 경우 파라핀에서 나오는 다이옥신 등 유해한 물질배출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조합원들은 원양어선이 꽁치를 잡기 위해 출항하는 내년 5월까지 시간이 있다고 보고 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파라핀 상자를 종이상자로 바꿔달라는 요구를 계속 할 방침이다.

포항구룡포과메기사업협동조합 한 관계자는 "원양어선 업계 측에서 꽁치 상자를 물이 새지 않는 두꺼운 종이상자로 바꿀 경우 추가비용을 붙여 제품을 출하하면 될 것인데 이를 하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다. 매년 처리해야하는 폐기물 비용과 환경보호 측면까지 고려한다면 지금이라도 정부가 나서 파라핀 상자 사용 금지를 강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