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호출 때는 3분 만에 엉뚱한 곳에…2차 호출 후 흉기 찔린 뒤에야 현장 도착
경찰 "스마트워치 위치 오차"…내일 경찰청장 주재 대응 회의
전 남자친구의 스토킹으로 신변 보호를 받던 여성이 살해당한 가운데 경찰의 부실 대응이 다시금 도마에 올랐다. 피해자가 스마트워치로 2차례 긴급 호출했으나 '위치 오류'를 이유로 엉뚱한 곳에 출동하는 등 제 역할을 하지 못한 탓이다.
지난 19일 오전 11시 36분쯤 서울 중구 저동 한 오피스텔에서 30대 여성 A씨가 머리 부위에 피를 흘린 채 쓰러져 있다는 이웃 주민 신고가 경찰에 접수됐다.
A씨는 전 남자친구 B씨가 지난 7일부터 지속적으로 스토킹해 경찰의 신변 보호를 받고 있었다. B씨는 사건 당일인 19일 오전부터 A씨의 집 앞에 와 있었다. A씨는 집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경찰이 지급한 스마트워치로 이날 오전 11시 29분쯤 첫 번째 호출을 했다. 경찰은 신고 3분 후 A씨의 위치로 표기된 명동의 한 지점에 도착했지만, A씨를 찾을 수 없었다.
4분 뒤인 11시 33분쯤 A씨가 2차 호출을 했다. 경찰은 8분 뒤인 11시 41분쯤 사건 현장인 A씨 집에 도착했으나 이미 사건이 벌어진 뒤였다. A씨는 병원으로 옮겨지던 중 숨졌다.
이웃 주민이 신고한 시간은 A씨의 2차 호출과 경찰의 현장 도착 시각 사이. 이를 두고 '경찰이 주민 신고를 받고서야 A씨 집을 찾은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럴 거면 호출용 스마트워치를 왜 나눠줬느냐는 것이다.
이런 논란에 경찰은 "주민 신고 접수 전 이미 A씨 집으로 향하던 상태였다"고 해명했다.
경찰 관계자는 "신변 보호 대상자의 주거지 정보가 있었기 때문에 스마트워치 위치값이 뜬 명동과 A씨 집으로 동시에 출동했다"고 말했다.

첫 번째 호출 당시에는 A씨가 흉기에 찔리기 전이었던 만큼 경찰 초동 수색이 늦어진 데 대한 비판이 나온다. B씨는 대화하던 중 갑자기 흉기로 A씨를 찌른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이번 초동 수색이 늦어진 것에 대해 '신변 보호용 스마트워치의 위치 추적 시스템의 한계'를 이유로 꼽았다.
경찰에 따르면 A씨가 스마트워치로 두 차례 호출해 경찰이 파악한 신고 위치는 모두 A씨 집이 있는 저동이 아니라 명동이었다.
이에 경찰은 첫 번째 호출을 받아 명동을 담당하는 남대문경찰서에 사건 지휘를 했고, 명동에 A씨가 없는 것을 확인한 뒤 남대문서가 2차 호출을 받아 다시 저동을 관할하는 중부서에 공조 요청을 하면서 대응이 늦어졌다.
이는 스마트워치가 경찰에 보낸 A씨의 위치값이 기지국을 통해서만 추출되고, 와이파이 및 위성(GPS) 위치값은 활용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현행 위치추적 시스템은 신고자가 호출하면 1차로 이동통신 기지국을 활용하고, 2차로 5초마다 휴대전화의 와이파이·GPS를 통해 정확한 위치를 보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핸드폰 기종 등에 따라 2차 보완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위치추적 시스템의 70%는 기지국 방식, 30%는 와이파이·GPS 방식으로 조회된다. 두 방식 모두 반경이 아니라 특정 지점에 대한 구체적 위치값을 보내지만, 최대 2㎞가량 오차가 있다.
경찰이 이런 오차 가능성을 알았다면 1차 호출 때 주거지인 저동에 함께 출동해야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 중부경찰서는 사건 다음 날인 20일 낮 12시 40분께 대구 소재 숙박업소에서 살인 등 혐의로 B씨를 검거했다.
경찰은 최근 '인천 층간소음 사건' 당시 범인을 제압해야 할 경찰이 사건 현장을 이탈하는 등 부실 초동 대응이 잇따른 데 대해 22일 김창룡 경찰청장 주재로 전국 시·도 경찰청장이 참석하는 회의를 열고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