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스터샷조차 뚫렸다…30대 2명 첫 '추가접종 돌파감염'

입력 2021-11-16 16:27:20

1·2차, 추가접종까지 '화이자' 접종…기본접종까지 마친 돌파감염 사례는 전체의 0.099%

얀센 백신 접종자에 대한 추가접종(부스터샷)이 시작된 8일 오후 서울 양천구의 한 병원을 찾은 시민이 부스터샷 접종을 받고 있다. 부스터샷 접종 대상자는 기본접종이 끝난 후 2개월이 지난 접종자이며, 전국 위탁의료기관에서 모더나, 화이자 등 mRNA 계열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다. 연합뉴스
얀센 백신 접종자에 대한 추가접종(부스터샷)이 시작된 8일 오후 서울 양천구의 한 병원을 찾은 시민이 부스터샷 접종을 받고 있다. 부스터샷 접종 대상자는 기본접종이 끝난 후 2개월이 지난 접종자이며, 전국 위탁의료기관에서 모더나, 화이자 등 mRNA 계열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다. 연합뉴스

부스터 샷을 맞은 30대 2명이 '돌파감염'됐다. 모두 화이자 백신을 맞은 것으로 확인됐다.

16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지난 7일 기준 추가접종을 완료한 2만6천272명 가운데 돌파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가 2명 있다고 발표했다.

방대본에 따르면 그 2명은 기본 1·2차 접종과 추가접종 모두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을 접종한 30대다.

앞서 부스터샷이 아닌 기본접종까지 완료한 뒤 돌파감염된 것으로 추정된 사례는 접종 완료자 3천590만7천789명 중 3만5620명으로 0.099%(접종자 10만명당 99.2명)에 해당한다.

지난 4월 2명을 시작으로 10월 1만6천95명을 기록하며 1만 명을 넘었다. 이달 들어서도 지난 7일까지 6천565명이 확인됐다.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이 10만명 당 183.4명으로 돌파감염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70대 153명 ▷60대 150.1명 ▷30대 117.3명 ▷12~17세 85.3명 ▷40대 66.2명 ▷50대 61.2명 ▷18~29세 50.4명 등 순이었다. 고령층에서 높은 돌파감염 발생률이 나타났고, 접종 초기 발생률이 높았던 30대 비율도 컸다.

백신 종류별로는 얀센 접종자가 10만명 당 349.6명으로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대 백신 171.4명 ▷교차접종 116.7명 ▷화이자 백신 63.8명 ▷모더나 백신 8.3명 등이었다.

돌파감염 환자 가운데 위중증 환자는 545명, 사망자는 170명이다. 돌파감염 추정 사례 중 치명률은 0.48%로 같은 기간 전체 확진자 치명률(0.78%)보다는 낮은 편이다.

이들 위중증 환자의 93.8%(511명), 사망자의 98.2%(167명)가 60대 이상 고령층이었다.

돌파감염 환자 중 위중증 환자 가운데는 ▷30대 7명 ▷40대 5명 ▷50대 22명이 있었다. 사망자 중에선 ▷50대 2명 ▷40대 1명 등이 있었다. 12~29세에선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모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