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율 격차가 좁혀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2일 발표됐다. 한 주 전 같은 조사에서 국민의힘이 20대 총선 이래 최고 지지율을 기록하고 곧바로 하락세로 반전해 대선 후보 선출 컨벤션 효과가 잦아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선거대책위원회를 둘러싼 알력다툼이 악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한국갤럽이 9∼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36%, 더불어민주당은 34%를 기록했다. 전주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2%포인트(p) 하락했고, 민주당은 4%p 올랐다. 격차는 일주일 전 8%p에서 오차범위 내인 2%p로 좁혀졌다.
전주까지만 해도 국민의힘은 갤럽 조사에 한껏 고무됐다. 일주일 전 당 지지율 38%로 2016년 4월에 있었던 20대 총선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10월 2주차 조사(33%) 이후 3주 연속 상승세를 탔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국민의힘 지지율이 당내 대선 후보 경선이 본격화한 덕분으로 풀이했다.
그런데 후보 선출 한 주 만에 지지율이 빠지자 컨벤션 효과가 예상보다 빨리 꺼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선대위 인선을 둘러싼 기존 윤석열 캠프와 '이준석-김종인 연합 전선'의 갈등 여파가 한몫을 했을 것이라는 해석까지 더해진다.
정치권 관계자는 "지난 금요일 후보를 확정하면서 국민의힘을 향한 관심이 잦아드는 게 당연하지만 직격타는 다른 데 있지 않겠느냐"면서 "경선 후유증, 다시 말해 2030 당원 탈당과 선대위 구성 과정에서 잡음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경선 기간 이후 보통 2~3주간에 걸쳐 과대표집되었던 지지율이 조정기를 겪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그는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방송 나갈 때마다 항상 당 지지율이 올라가도 경선기간 전후 과대표집 효과를 생각하며 냉정하게 선거 판세를 분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며 "다음 주 지지율 정도가 실제 안정화된 지지율일 것이다. 이런 건 후보나 당의 경쟁력과 관계없는 기술적 등락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