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색만 맞추기도…노노재팬·온라인 판매 성장 영향
식품중심 대형마트 '빼빼로' 마케팅은 여전
대구의 A 백화점은 올해부터 빼빼로데이 관련 마케팅을 대폭 축소했다. 원래 빼빼로데이는 이 백화점이 매년 챙겨오던 중요한 행사 중 하나였다. 지난해까진 식품 매장의 중심부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두고 빼빼로·초콜릿 등 관련 기획전을 열었다. A 백화점 관계자는 "빼빼로데이 때문에 일부러 백화점을 찾는 경우가 드물기도 하고, 마진이 많이 남는 것도 아니다. 올해는 특별히 빼빼로데이 관련 기획을 준비하지 않았다"고 했다.
'11월 11일' 빼빼로데이는 기업들이 내놓은 '데이(Day) 마케팅' 중 가장 성공했다고 평가받지만, 최근 백화점과 같은 오프라인 유통업계에서 점점 중요도가 떨어지고 있다. 대대적인 프로모션은 아예 사라지는 분위기다.
B 백화점의 경우 빼빼로데이가 다가오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 관련 상품군을 묶어 전시하고, 수제 빼빼로도 판매했다. 하지만 올해부턴 '빼빼로 모음전'만 마련했고, 이마저도 '수능' 마케팅과 연계했다. B 백화점 직원은 "빼빼로 매출이 1년 전 이맘 때 비해 5.4% 늘었지만 빼빼로 행사 덕분이라기 보다는 '위드 코로나'로 백화점을 찾는 고객이 증가한 요인이 더 강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C 백화점 측은 "2019년 이전엔 빼빼로데이 행사를 대대적으로 했었다"면서도 "현재는 빼빼로 단가도 낮아 마케팅 비용이 더 들어 구색만 갖췄다"고 했다.
백화점 업계에서 이런 변화는 두 가지 원인으로 분석된다. 2019년 '노노재팬(일본 상품 불매운동)' 영향에 불매 대상 제품으로 지목된 롯데와 빼빼로가 타깃이 되면서 한차례 고초를 겪었다. 당시 유통업계에선 혹여나 불똥이 튈까 빼빼로데이를 빼빼로데이라고 부르지 못하고, '스윗데이' 등 대체 용어 찾기에 고심했다.
지난해부턴 코로나19 영향을 받았다. 오프라인 빼빼로데이 프로모션 행사를 진행했지만 온라인 이커머스가 급성장하면서 기대했던 만큼의 성과를 못냈다는 게 백화점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다만, 식품 비중이 높은 이마트·홈플러스 등 대형마트에는 여전히 빼빼로데이가 중요한 대목 중 하나다. 홈플러스는 매장에 높이 약 64cm의 자이언트 빼빼로를 전시하고, 관련 빼빼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마트는 4~17일까지 빼빼로 행사상품 최다 구매자와 1만5천원 이상 구매 고객에게 추첨을 통해 샤넬·루이비통 등 명품백을 증정하는 파격적인 행사도 내놨다.
대구 이마트 관계자는 "이 덕분인지 1~9일 빼빼로 매출이 1년 전보다 14.0% 신장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했다. 또 다른 마트 관계자는 "단가가 높을 수밖에 없는 백화점에선 중요도가 떨어질지 몰라도 빼빼로데이는 마트에선 여전히 중요한 행사 중 하나"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