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실업률 0.29%p 올렸다

입력 2021-09-27 12:42:31

한은, '코로나19와 실업률 하향편의' 보고서

코로나19가 실업률을 0.29%포인트(p) 높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로 구직활동에 어려움을 겪은 구직 단념자까지 고려할 경우 실제 실업률은 공식 통계보다 더 높다는 뜻이다.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취업, 구직 상담실이 텅 비어있는 모습. 연합뉴스
코로나19가 실업률을 0.29%포인트(p) 높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로 구직활동에 어려움을 겪은 구직 단념자까지 고려할 경우 실제 실업률은 공식 통계보다 더 높다는 뜻이다.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취업, 구직 상담실이 텅 비어있는 모습. 연합뉴스

코로나19가 실업률을 0.29%포인트(p) 높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로 구직활동에 어려움을 겪은 구직 단념자까지 고려할 경우 실제 실업률은 공식 통계보다 더 높다는 뜻이다.

27일 한국은행 'BOK 이슈노트'에 실린 '코로나19와 실업률 하향편의'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지난해 3월~올해 8월까지 실업률이 공식 실업률보다 평균 0.29%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구직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탓이다. 또 영업제한과 육아부담, 자가격리 등으로 구직활동이 제한되면서 실업자로 분류되었을 사람이 비경활로 분류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영업제한을 받는 업종의 일자리를 구하는 경우 취업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해 구직을 포기하거나 채용시험이나 면접이 연기·취소된 경우 혹은 보육시설 폐쇄로 육아부담이 늘어난 경우에도 구직활동이 크게 제한됐다.

오 차장은 "팬데믹과 같은 이례적인 상황에서는 상대적으로 좁은 의미의 노동시장 유휴수준을 평가하는 실업률 외에도 다양한 고용보조지표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며 "조정 실업률과 공식 실업률의 괴리는 앞으로 코로나19 확산세 및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