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8개 구·군 예방접종센터 중 통역사 배치 된 곳은 두 곳
한국어, 영어 못하는 경우 예진하기 난감, 번역기 돌리면서 땀 뻘뻘
번역기 사용 역시 찝찝함 남아, 제대로 번역 됐는지 알기 어려워
대구시내 코로나19 예방접종 의료진과 일선 공무원들이 외국인 백신 접종자와 소통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대다수 예방접종센터에 전문 통역사가 없기 때문이다. 통역 전화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등 온갖 방법을 고안 중이다.
외국인의 원활한 백신 접종을 위해 각 예방접종센터에는 영어, 중국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등 12개 언어로 된 접종 안내문과 5개 언어로 된 다국적 예진표가 비치돼 있다. 하지만 접종자가 모국어로 예진표를 작성하는 경우 해석하기 어려워 난감한 상황도 발생한다.
전문 통역사가 배치된 곳도 드물다. 대구시 8개 구‧군의 예방접종센터 중 현재 외국인 접종을 도울 통역사가 배치된 곳은 달성군예방접종센터(3명)와 중구예방접종센터(1명) 단 두 곳뿐이다. 이곳 역시 통역사 수가 많지 않으면서 외국인이 한꺼번에 몰릴 경우 정신없이 일을 처리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대구의 한 예방접종센터에 근무하는 A씨는 "다국적 예진표가 있지만 아픈 증상 등 수기로 적어야 하는 칸이 있어 외국인이 베트남어, 네팔어 등 모국어로 작성해 버리는 경우 해석에 애를 먹는다. 질환에 대해 의사가 자세히 물어야 하지만 소통이 안 돼 불편한 경우가 많다. 손짓, 발짓을 동원하며 예진을 하고 있다"고 했다.
이에 대다수 구‧군에서는 번역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한국어, 영어 등 의사소통이 가능한 외국인의 친구와 통화를 통해 문진을 진행하는 방식 등을 고안 중이다. 또 무료 통역전화 서비스를 이용해 통역이 어려울 경우 바로 전화 연결을 진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번역기 사용에도 정확한 번역 여부를 알 수 없어 찝찝함이 남는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다른 예방접종센터에서 근무하는 B씨는 "번역기를 사용하면서 외국인과 의사소통을 하고 있지만 베트남어 등은 번역기를 돌려도 정확한 표현으로 번역이 됐는지 알 수 조차 없어 난감하다. 한국어가 가능한 지인을 전화 연결시켜 달라고 해 이중 통역을 진행하거나 같은 나라에서 온 외국인을 섭외해 예진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통역사가 필요하면 시가 다문화센터를 연계해 통역사를 지원해 줄 수 있다. 지난 11일 진행된 외국인근로자 얀센 접종에 대해서도 통역사를 지원, 배치했다. 구‧군 보건소에서 통역사가 필요하다고 연락을 주면 통역사 지원을 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