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는 하락했는데…수입물가 4달째 상승, 약 7년 만에 '최고치'

입력 2021-09-14 10:05:35 수정 2021-09-14 10:42:23


부산의 한 부두 모습. 연합뉴스
부산의 한 부두 모습. 연합뉴스

지난달 우리나라 수입물가가 4개월 연속 상승하면서 약 7년 만에 최고치를 세웠다. 수출물가도 9개월째 상승세다. 다만 수출입 물가 모두 상승폭은 둔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8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15년 수준 100)는 120.79로 7월(120.05)보다 0.6% 상승했다. 2014년 4월 이후 기간인 7년4개월 내 최고기록이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로는 21.6% 뛰었는데, 이는 2008년 12월(22.4%) 이후 가장 높았다.

수입물가는 8월 국제 유가(두바이유 기준)가 한 달 새 4.7% 하락했지만, 중간재 가운데 1차금속제품(1.9%)과 화학제품(1.7%) 등이 오른 탓에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다만 유가가 떨어지면서 수입물가 오름폭은 줄었다.

8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7월(111.58)보다 1.0% 높은 112.72다. 작년 11월(0.6%) 이후 9개월째 상승세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8.6% 뛰었다. 공산품이 수출물가 상승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7월과 비교해 1차금속제품(3.3%), 화학제품(1.6%), 섬유·가죽제품(1.6%)이 상승했다. 다만 농림수산품은 0.9% 떨어졌다.

최진만 물가통계팀장은 수입 물가가 상승한 데 대해 "일부 원자재 가격 상승과 수요 증가 등으로 수입 물가 상승세가 이어졌다"고 했고, 수출 물가 상승에 대해서는 "원/달러 환율 상승과 수요 증가 등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