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빈곤인권시민단체 "주거취약계층의 생존을 위한 냉방 임시거주 공간 마련“

입력 2021-08-11 18:03:19

폭염으로 인한 고통과 건강불평등 심해져
주거취약계층에 대한 근본적 대안이 필요
대구시 관계자 “내년 쪽방촌 거주민 선호 반영 예정”

대구지역 빈곤인권시민단체는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주거취약계층의 생존을 위한 냉방 임시거주 공간 마련을 요구했다. 최혁규 기자
대구지역 빈곤인권시민단체는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주거취약계층의 생존을 위한 냉방 임시거주 공간 마련을 요구했다. 최혁규 기자

대구 시민단체가 대구시의 주거취약 폭염 대책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11일 반빈곤네트워크 외 4개 단체는 대구시청 앞에서 "대구지역의 폭염과 열대야 일수는 어느 지역 보다 많고, 주거 취약계층은 폭염으로 인한 고통과 건강불평등이 심하다"며 "대구시는 이들에 대한 근본적인 폭염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6월 대구시는 폭염취약계층 냉방용품 지원계획을 내놓았다. 올 여름 평년과 대비해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폭염일수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 폭염 취약계층에 집중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방점이 찍혔다.

구체적으로 쪽방 거주민에 대해 주민과 연결해 안부를 확인하거나, 얼음물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홀몸노인에게는 폭염 특보 때 생활지원사가 전화를 통해 안전을 확인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지난 5월 반빈곤네트워크에서 쪽방 거주민을 위한 임시주거시설 마련을 요구한 뒤 시가 내놓은 대책이었다.

이에 대해 빈곤인권시민사회단체는 '임시 대책'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장기적으로 온실효과와 열섬현상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폭염 대책은 탈진과 탈수를 막는 최소한의 대응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장정희 대구녹색당 사무처장은 "대구시는 매년 비슷한 사업을 내놓지만 이름만 그럴듯하게 바꾸는 탁상행정을 한다"며 "기후위기의 피해는 쪽방 거주민과 주거 취약계층에 집중되는데 이들을 위한 중장기적 대책은 전무하다"고 말했다.

LH와 대구도시공사가 마련한 냉방 임시거주 공간이 쪽방 거주민의 거주환경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장민철 대구쪽방상담소 소장은 "올해 초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LH 임대주택 물량에 여유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돼 두 달만 폭염을 피해갈 공간을 요구했지만, 임대주택이 달성군과 칠곡 쪽에 많아 쪽방 거주민들의 생활반경과 동떨어져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지금 당장 쪽방촌 거주민들이 원하는 물량을 확보할 수 없다"면서도 "취지는 공감하기 때문에 내년에 이 사업을 살리기 위해 앞으로 구매하는 다가구 임대주택에 대해 쪽방촌 거주민들의 선호도를 반영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