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빠른 확산세 4차 대유행 위기, 국민 협력 없이 방역 어렵다

입력 2021-07-19 05:00:00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18일 기준 1천454명으로 집계되면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주말 확진자로는 가장 많은 수를 기록했다. 통상 주말의 경우 진단검사 규모 자체가 줄면서 확진자가 대폭 줄어드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4차 대유행에 접어들자 평일·주말이나 수도권·비수도권 구분이 사실상 무의미해질 정도로 지역 감염이 빠르게 확산돼 정부와 방역 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그동안 신규 확진자 분포를 보면 대략 80%가 수도권에 집중되는 양상이었다. 하지만 지난달 하순 4차 대유행기에 진입한 이후 지역 감염 또한 크게 늘어나 18일 기준 해외 입국자를 제외한 지역 감염자 1천402명 중 31.6%가 비수도권에서 나왔다. 이처럼 지역 감염이 빠르게 늘자 제주를 비롯한 강릉, 대전, 김해 등은 사회적 거리 두기를 3단계로 강화하거나 3단계 기준을 충족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19일부터 비수도권도 사적 모임 인원 수를 4인까지만 허용하겠다고 발표했다. 현행 2단계인 비수도권의 사회적 거리 두기 지침을 강화하지 않고는 4차 대유행을 극복하기가 어렵다고 본 것이다.

백신 부족으로 예방접종마저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와 개인 방역 준수 등 국민의 적극적인 협력이 없다면 방역 전선을 견고하게 지켜내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최근 수도권과 부산 경남 등 인구 밀집 지역의 코로나 확산세가 심상찮다는 점, 특히 관광지마다 휴가객이 크게 몰리면서 방역 부담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4차 대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 조치를 틈타 언론사 속보를 가장한 장난 문자까지 기승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장난 문자로 치부해 자칫 이를 방치할 경우 사이버 범죄로 악용될 가능성도 높은 만큼 메신저 단체 채팅방이나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유포되는 장난 문자에 주의해야 한다. 어려운 코로나 시국에 금전적 피해까지 보는 시민이 없도록 경찰은 관련 행위와 사이버 범죄 예방에 적극 나서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