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45개→이달 1095개…해당 분야 일자리는 13% 증가
280억 투입 생태계 조성 목적…사회적경제 혁신타운 개관도
대구 사회적경제기업이 최근 3년 동안 뚜렷한 양적·질적 성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15일 민선 7기 출범 이후 사회적경제 육성 성과를 종합하며 사회적경제가 지역 사회에 뿌리를 확고히 내릴 수 있게 돕겠다고 밝혔다.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의 사회적경제기업 숫자는 2017년 745개에서 이달 기준 1천95개로 3년 간 47% 급성장했다. 사회적경제기업 일자리는 같은 기간 7천257개에서 8천200개로 13% 늘었고, 매출액은 2017년 1천350억원에서 지난해 1천610억원으로 20% 늘었다.
사회적경제기업 대상 공공구매는 지난해 기준 214억원으로 2017년 118억원보다 약 80% 이상 증가하며 괄목할 성장을 이뤘다. 대구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 개척을 돕고자 지난 2017년 출범한 종합유통채널 '무한상사 사회적협동조합'의 매출 규모가 2018년 14억원에서 2020년 56억원으로 300% 증가하는 성과를 거둔 영향이 컸다.
지난 6월 행정안전부 공모 사업으로 선정된 사회적경제 유통지원센터가 대구도시철도 2호선 용산역 인근 대구기업명품관에 오는 10월 문을 열 예정인 점도 매출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이곳에 대구경북 지역에서 운영 중인 15개 로컬푸드 판매장을 연계하는 한편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지역 사회적경제 제품 판매를 촉진한다.
지역 내 사회적경제 혁신성장 거점을 확보하고 중장기적 발전방향을 설정한 것도 성과다.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으로 유치해 2024년 6월 개관하는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은 대구시 사회적경제기업 혁신 성장의 중심 역할을 할 예정이다. 국비 140억원 등 총사업비 280억원을 투입, 협업과 네트워킹을 통한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고, 가치확산과 혁신성장을 위한 거점으로 활용한다.
대구시는 지난해 민·관 협력을 통해 '제2차 대구사회적경제 종합발전계획'도 수립했다. 같은 해 실시한 '사회적경제 지역자원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경제인들의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현장감과 실현가능성을 살렸다.
계획에 따라 향후 5년 간 추진되는 주요 사업은 ▷공공시장 온라인 플랫폼 구축 ▷사회적경제 기금조성 ▷거버넌스 강화 ▷사회적가치 확산 등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시 사회적경제는 거침없는 성장을 통해 생활 곳곳에 뿌리 내리며 미래공동체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적경제가 더 깊게 뿌리 내리고 더 울창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