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델타 변이 바이러스 '철통 방어' 나선다

입력 2021-07-06 16:20:32

현재까지 지역 델타 변이 감염 3건 발생…변이 확인 전 1인실 격리 원칙
경북보건환경연구원에서 델타 변이 검사 추가로 할 계획

전파력이 더 센 인도 유래
전파력이 더 센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가 매주 배로 증가하는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6일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해외예방접종 격리면제자 전용 출구가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경상북도는 코로나19 델타 변이 전파를 막기 위해 방역관리를 강화한다.

6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3일까지 도내 88명(국내 감염 60명, 해외 감염 28명)에게서 변이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알파형(영국 변이) 75명, 베타형(남아공 변이) 5명, 델타형(인도 변이) 8명이다.

델타 변이는 지난 5월 31일 포항(경기 화성 확진자와 접촉), 지난달 7일 구미(해외 입국 가족 접촉), 같은달 23일 안동(군산 방문)에서 1명씩 지역 감염 사례가 나왔다. 나머지 5명은 해외유입 사례다.

델타 변이는 국내 변이 감염자 100명 중 7명 안팎으로 발생하고, 알파 변이 대비 1.6배 높은 전파력으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했다. 전국에서 400여 건 이상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경북도는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에 대한 중앙사고수습본부 조치보다 강화한 대책을 시행한다.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가 발생하면 감염경로와 감염원을 심층 조사하고 접촉자 관리범위를 확대한다. 자가격리자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특히 1인실 격리 입원을 원칙으로 변이 바이러스 여부가 확인되기 전에 감염원별·지역별 입원실을 분리 배정해 교차 감염을 차단한다.

아울러 감염 취약시설 특별 방역 점검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수도권 방문 자제 요청, 각종 행사축소 및 참여 인원 최소화 등을 적극 추진한다.

신속한 변이 바이러스 분석을 위해 경북보건환경연구원에서 델타 변이 검사를 추가로 할 계획이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알파·베타·감마(브라질) 변이 검사를 하고 있다.

이철우 도지사는 "전국 신규 확진자가 일주일째 700명대 이상 발생하고 있다. 반드시 백신 접종을 하고 아프면 검사를 받는 등 예방 수칙을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