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갈수록 확산하고 있다.
20일 블룸버그가 국내외 투자은행(IB)과 경제연구소 등 70여 기관의 전망치를 집계한 결과를 보면 올해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평균 3.4%로 점쳐지고 있다. 이 전망이 맞아떨어진다면 2008년 3.8% 이후 13년 만의 최고치가 된다.
블룸버그의 3월 집계 때에는 평균 전망치가 2.3%였으나 4월 2.5%, 5월 2.9% 등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게다가 이번 집계는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자체 물가 전망을 상향 조정하기 전인 11일에 이뤄진 것이어서 향후 전망치가 더 오를 가능성이 작지 않다.
이런 전망치의 우상향 흐름은 반도체 칩 부족을 비롯한 세계적인 공급망 혼란에 컨테이너선 운임 상승, 유가와 구리·주석을 비롯한 원자재 가격 오름세 등이 반영되면서 가속화됐다. 미국 소비자물가도 2월에는 1년 전보다 1.7% 오르는 데 그쳤지만 3월 2.6%, 4월 4.2%, 5월 5.0% 등으로 가파르게 치솟았다. 이에 따라 지난 16일(현지시간) 연준이 올해 경제 전망을 수정하면서 내놓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 전망치도 3.4%로 지난 3월 전망치보다 0.8%나 상향 조정됐다.
연준은 최근 물가 상승이 일시적인 흐름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다.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과도한 미 정부의 재정 지출이 통제하기 어려운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다고 이미 여러 차례 경고한 바 있다.
물가 등 경제가 불안한 일부 신흥국들은 먼저 금리 인상에 나선 상황이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16일 기준금리를 4.25%로 0.75%포인트 올려 올해 들어 3차례 연속 인상을 단행했다. 러시아 중앙은행도 11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며 올해 3차례 인상을 했다. 선진국 가운데는 노르웨이 중앙은행이 16일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9월에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