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정세균 "대선 후보 경선 연기" vs 이재명 "원칙대로"

입력 2021-06-08 17:46:47 수정 2021-06-08 21:47:06

민주 대선 후보 선출 시기 신경전
"코로나 확산 국면 흥행 부진 우려"…"미뤄지면 정기국회·국감에 여파"

8일 국회에서 열린
8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군 성범죄 근절 및 피해자 보호 혁신 태스크포스(TF) 1차 회의에서 민홍철 TF 단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당에서 차기 대통령후보 결정을 위한 당내 경선 연기여부를 두고 대권주자 간 신경전이 달아오르고 있다.

코로나19 확산국면에서 당내 경선을 치를 경우 흥행에 차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경선을 미루자는 의견과 원칙대로 진행하자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정치권에선 '게임의 법칙'을 둘러싼 대권주자 간 공방이 격화할 경우 자칫 당 분열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민주당은 당헌·당규에 따라 내년 대선(3월 9일) 180일 전인 9월 10일까지 대선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

하지만 당내 후발 대권주자들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산 분위기에선 경선을 정상적으로 치르기 어렵고 야당의 기세가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여당 후보를 너무 일찍 결정하는 것도 대선에 도움이 안 되기 때문에 두 달 정도 경선일정을 늦추자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아직까지 이렇다 할 대권주자를 내놓지 못하고 있는 당내 최대계파인 '친문계'도 경선연기를 선호하는 분위기다.

특히 '빅3' 주자인 이낙연 전 대표·정세균 전 국무총리까지 경선연기론에 힘을 실으면서 '원칙대로'를 주장하고 있는 이재명 경기도지사 측과 미묘한 신경전이 전개 중이다.

정 전 총리는 지난 7일 연합뉴스TV 인터뷰에서 "조만간 백신 접종이 제대로 이뤄지면 정상적 경선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런 것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경선 시기, 방법 논의를 진지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이 지사 측 김병욱 의원은 "경선을 미룬다면 과연 정기국회와 국감이 제대로 되겠느냐"며 "원칙대로 경선을 치러야 하고 정책, 법, 예산으로 국민들에게 더 많은 성과를 보여드려야 한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견을 조율해야 할 당 지도부는 여전히 신중한 입장이다. 지도부 관계자는 "경선 일정을 건드리는 순간 룰도 바꾸자는 이야기가 쏟아질 것"이라며 "정해놓은 원칙을 바꾸는 일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도 경선시점은 각 주자들에게 유·불리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섣불리 건드렸다가는 대권주자 이탈과 당 분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