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월간 재정동향 6월호' 발간
빠른 경기회복세와 세수 호조세로 정부가 올해 1∼4월 거둬들인 세금이 전년보다 32조7천억원 증가했다.
기획재정부가 8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6월호'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세 수입은 133조4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조7천억원 늘었다.
한 해 걷으려는 세금 목표 중 실제로 걷은 금액이 차지하는 비율인 진도율은 47.2%로 전년 대비 11.9%포인트(p) 증가했다.
작년 하반기 이후 예상보다 빠른 회복세로 기업 실적이 좋아지면서 법인세가 8조2천억원 늘어난 29조9천억원, 부가가치세는 4조9천억원 증가해 34조4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어 양도소득세가 3조9천억원, 증시 활황에 증권거래세도 2조원 각각 늘었고, 고 이건희 회장 유족의 상속세 납부로 상속세가 2조원 증가했다.
지난해 1~4월 내야할 세금을 작년 하반기나 올해로 미뤄준 세정지원으로 생긴 기저효과에 따른 세수 증가분은 8조8천억원으로 파악됐다.
기저효과를 제외하면 1~4월 국세는 전년보다 23조9천억원 증가한 수준이라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4월 한달만 보면 국세수입(44조9천억원)은 전년보다 13조8천억원 증가했다. 1~3월 누적으로는 19조원 늘었다.
국세수입 이외에 1∼4월 세외수입(13조원)도 한은잉여금 등으로 전년보다 2조4천억원 증가했다.
기금수입(71조3천억원) 역시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성기금의 자산운용수익 등으로 전년 대비 16조2천억원 늘었다.
국세수입과 세외수입, 기금수입을 합친 1∼4월 총수입은 217조7천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51조3천억원 증가했다.
코로나19 피해 지원 등으로 1~4월 총지출은 234조원으로 전년대비 24조3천억원 늘었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재정 지출이 늘었으나 세수가 호조를 보이면서 나라살림 적자폭은 개선됐다.
1∼4월 통합재정수지는 16조3천억원 적자가 났다. 적자 폭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7조원 감소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보장성 기금을 빼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40조4천억원 적자였다. 적자 폭은 1년 전보다 16조1천억원 줄었다.
4월 기준 국가채무 잔액은 880조4천억원으로 나타났다.
안도걸 기재부 2차관은 "그간의 적극적 재정 운용이 마중물이 돼 저소득층 가구의 소득 보완, 모든 연령층의 고용률 증가 등 서민 생활 안정 및 경기회복에 기여하면서 세수 호조세 및 재정수지 개선의 선순환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이번 2차 추경은 적자국채 발행 없이 초과 세수분만으로 충당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만큼 추경과 관련한 국채시장의 수급 불확실성은 최소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