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군·의회, 울릉 인근 해역 포탄 사고에 분노

입력 2021-06-07 15:46:48

여객선 운항구역, 울릉도 인근 해역 사격훈련 금지 요구

울릉군과 울릉군회의는 7일 경북 울릉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군함 포탄 사고와 관련해 재발 방지 대책을 강력 촉구했다. 울릉군 제공
울릉군과 울릉군회의는 7일 경북 울릉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군함 포탄 사고와 관련해 재발 방지 대책을 강력 촉구했다. 울릉군 제공

지난 1일 경북 울릉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군함 포탄 사고와 관련, 울릉군과 울릉군의회가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7일 울릉군민회관에서 공동 성명을 내고 "해군 동해함 시운전 중에 발생한 포탄 오발 사고는 2척의 여객선에 탄 국민 319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며 "사고 발생 구역은 항로와 시간이 정해진 정기 여객선이 운항하는 해상임에도 면밀한 확인없이 포탄을 발사했다는 점에서 군민은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포탄이 떨어진 사동항 남서쪽 24㎞ 해상은 울릉주민이 평소 어업구역으로 이용하는 곳으로 사태의 심각성이 더하다. 이런데도 해군, 현대중공업 등 관계 당국은 진상조사와 대책 마련은 뒷전이고 책임소재 떠넘기기에 급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정확한 진상조사를 통해 사고 발생 경위를 밝혀 위반자에게 책임을 묻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여객선 운항 시간대 운항구역의 사격훈련 금지와 울릉도 해상 20마일 이내는 어업인 안전을 위해 사격훈련을 금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여객선의 주항로이자 다가올 울릉공항 시대 여객기 항로인 울릉남방 근해는 사격 훈련지 이전을 통해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공동 성명 발표에는 김병수 군수를 비롯해 군청 간부 공무원과 최경환 의장을 포함한 군의원 등이 참여했다.

앞서 방사청은 3일 입장문을 내고 "이번 사고에 관한 전반적은 책임은 우리에게 있다. 동해함이 사격전 레이더 화면을 근거리(약 15km)로 전환하면서 사격구역 바깥에 있는 우리누리호를 인지하지 못해 포탄이 발사됐다"고 밝힌 바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