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연구진이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혈전 부작용 원인과 해결책을 찾았다고 밝혔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매개체)에 의해 생겨난 돌연변이 단백질이 혈전의 원인이라며 제약사들의 간단한 조정으로 해결될 문제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기반 백신인 존슨앤드존슨(J&J) 계열사 얀센 백신의 혈전부작용도 같은 원리라는 주장이다.
2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더선 등 외신에 따르면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괴테 유니버시티 주도 연구팀은 이날 코로나19 백신의 희소 혈전 사례 원인 연구 결과를 공식 출판 전 논문을 통해 공개했다.
해당 연구팀에 따르면 AZ 백신과 얀센 백신 등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기반 백신들에서 나타난 혈전증은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세포핵으로 잘못 보내졌을 때 발생하는 '유동 돌연변이 단백질'(floating mutant proteins)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기반 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에 비활성화한 코로나19를 집어넣은 뒤 인체에 투입해 면역반응을 끌어내는 원리로 작동한다. 문제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신체 속으로 들여보내는 아데노바이러스 매개체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잘못 보낼 경우라고 연구팀은 전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세포질의 액상 부분인 시토졸(cytosol)로 보내져야하나 일부 세포핵(nucleus)으로 보내지는 경우가 있으며, 세포핵으로 보내지면 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정 부분이 떨어져나와 돌연변이 단백질이 발생한다. 이 돌연변이 단백질이 세포막에 결합하지 못하고 신체로 분비될 때 약 10만명당 1명 꼴로 혈전을 유발한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괴테 유니버시티의 롤프 마살렉 교수는 "백신 제조업체가 스파이크 단백질 시퀀스를 수정하면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가 가진 데이터를 통해 이러한 시퀀스를 변형시키는 방법을 알려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해당 연구팀은 이미 J&J와는 논의를 갖고 있으며, 아스트라제네카와는 아직 접촉이 없었다고 밝혔다.
다만 일부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 결과가 아직 가설에 불과하며, 더 많은 실험 데이터를 통한 입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AZ와 얀센의 코로나19 백신은 그동안 접종 후 4∼14일에 혈소판 감소를 동반하는 매우 드문 혈전증인 뇌정맥동혈전증(CVST), 내장정맥혈전증(SVT)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에서는 AZ 백신 접종자 3천300만명 중 309명에게서 이같은 혈전증이 발견됐고, 이중 56명이 사망했다. 유럽에서는 1천600만명의 접종자 중 최소 142명이 이같은 혈전증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