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가 처음으로 30%가 무너져 29%까지 떨어졌다. 한국갤럽이 전국 만 18세 이상 1천 명에게 문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느냐고 물은 결과 긍정평가가 29%였다. 한국갤럽 조사로는 취임 후 최저치다. 부정평가는 60%로 긍정·부정평가 간 격차가 31%포인트였다. 임기 말 대통령 지지율의 '심리적 저지선'인 30% 선이 무너져 문 대통령과 청와대·더불어민주당의 충격이 클 것이다.
문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율이 30% 아래로 추락한 것은 먹고사는 문제, 민생(民生)에서 총체적으로 실패한 탓이 크다. 대통령 직무 수행 부정평가 이유가 이를 입증한다. 부동산 정책(28%)과 코로나19 대처 미흡(17%)이 지적됐고,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9%), 전반적으로 부족하다(5%), 인사 문제(5%), 독단적·일방적·편파적(4%) 등이 꼽혔다. 한국갤럽이 분야별 정책 평가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8개 분야 중 복지에서만 긍정평가가 앞섰고, 그 외는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부동산 정책 부정평가는 81%나 됐다.
대통령 지지율에 청와대는 지금껏 일희일비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하지만 이번엔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문 대통령과 청와대·민주당은 어떤 정책과 태도가 국민을 화나게 했는지, 떠나간 민심을 되돌리려면 어떤 대책과 자세가 필요한가를 진지하게 고민하길 바란다. 민생이 무너져 국민 고통이 가중되는 것을 계속 외면한다면 대통령과 청와대·여당은 존재 이유를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다.
국민이 다 아는 대통령에 대한 부정평가 원인을 정작 문 대통령과 청와대·여당만 모르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부동산을 비롯한 민생 문제에 대한 비판과 충고를 수용하기는커녕 집착과 독선에 사로잡혀 '마이 웨이'를 고집하는 행태에 국민은 실망했고, 이것이 대통령 지지율 추락을 가져왔다. 임기가 1년 남은 상황에서 대통령 지지율 추락은 문 대통령과 청와대·여당에 민생 실패에 대한 반성과 정책 변화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