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아르메니아 집단학살 인정…터키 "정치화 의도" 반발

입력 2021-04-25 15:36:17

레이건 이후 40년만에 '제노사이드' 용어 사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터키의 전신인 오스만제국의 아르메니아인 학살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터키의 전신인 오스만제국의 아르메니아인 학살을 '집단학살'(genocide)로 공식 인정한 24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터키영사관 앞에서 아르메니아계 이민자들이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터키 전신인 오스만제국의 아르메니아인 학살을 '집단학살'(genocide)로 공식 인정했다. 아르메니아는 환영과 감사의 뜻을 밝혔지만, 터키는 미국이 이 논란을 정치화하려 한다며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까지 나서서 강력 반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우리는 오스만제국 시대에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로 숨진 모든 이들의 삶을 기억한다"며 "미국 국민은 106년 전 오늘 시작된 집단학살로 목숨을 잃은 모든 아르메니아인을 기리고 있다"고 밝혔다.

미 대통령은 4월 24일 아르메니아 집단학살 추모일에 성명을 내왔지만, 이번 성명의 경우 집단학살을 뜻하는 '제노사이드'라는 표현을 두 번이나 쓴 것이 달라진 점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 사건을 집단학살이라고 언급한 마지막 미국 대통령은 1981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었다. 이후 터키의 압력으로 인해 이 표현을 쓰지 않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40년 만에 이 단어를 다시 꺼낸 것이다.

대부분 역사가는 1915년부터 1923년까지 터키의 전신 오스만제국이 아르메니아인과 다른 소수민족을 상대로 집단학살을 자행했다고 인정한다. 이 사건으로 150만 명 정도가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터키는 '1915년 사건'이라는 모호한 용어를 사용하고 전쟁 중 벌어진 쌍방 충돌의 결과라며 집단학살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숨진 아르메니아인 규모도 30만 명 정도라고 주장한다. 이를 반영하듯 에르도안 대통령은 이날 "역사학자들이 다뤄야 할 논쟁"이라며 "제삼자가 정치화하거나 터키에 대한 간섭의 도구로 이용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득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