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시진핑 기후정상회의서 화상으로 첫 대면

입력 2021-04-21 16:03:36

시진핑 22일 화상회의 참석… 기후 협력 연설 예정
바이든, 2030년까지 미국 온실가스 배출 절반 감축 제시할 듯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연합뉴스

적극적인 기후변화 대응을 강조해온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2∼23일(현지시간) 화상으로 열리는 기후 정상회의에서 어떤 리더십을 보여줄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도 참석, 화상으로나마 양국 정상의 첫 만남이 이뤄질 전망이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조 바이든 대통령 초청으로 22일 베이징에서 화상 방식으로 기후 정상회의에 참석해 중요연설을 할 예정이라고 21일 발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 러시아 등 40개 국가 정상을 초청했다.

최근 양국은 대만, 홍콩, 신장(新疆) 문제 등을 두고 날카로운 신경전을 벌이고 있지만 기후 문제와 관련해서는 해결을 위한 접점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과 중국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절반 가까이를 차지, 두 나라가 참여하지 않는 한 세계적인 기후변화 문제 해결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앞서 존 케리 미 대통령 기후특사는 지난 14∼17일 상하이(上海)를 방문해 셰전화(解振華) 중국 기후변화 특별대사와 회담을 가졌다.

중국은 기후변화 등의 분야에서 미국과 협력하겠다는 입장을 천명한 바 있다. 시 주석은 지난 16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가진 기후변화 관련 화상 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 대응은 전 인류의 공동사업인 만큼 무역장벽의 구실이 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 정점을 찍고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AP통신은 이와 관련해 바이든 대통령이 2030년까지 미국 온실가스 배출을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겠다는 구상을 밝힐 계획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는 앞서 미국이 공언한 감소계획의 2배에 달하며, 다른 국가의 온실가스 저감 속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AP통신은 바이든 대통령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전력 공급과 교통 분야에서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풍력, 태양광 발전과 같은 재생가능에너지 공급을 늘리고, 반대로 석탄과 석유를 포함한 화석연료 사용은 크게 줄여야 한다.

기후 목표는 2015 파리 기후협약의 주요 의제이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첫날 파리 기후협약에 재가입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정상회의의 목표가 세계 주요국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 지구 평균 기온상승을 섭씨 1.5도로 맞추는 데 있다고 전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