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우주헬기 화성서 동력 비행 성공…지구 밖 행성서 처음

입력 2021-04-19 20:31:45

초속 1m 속력으로 3m 높이까지 상승…30초간 정지비행
20세기 초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에 비견돼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의 우주 헬기 '인저뉴어티'(Ingenuity )가 19일(현지시간) 화성 하늘을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

인류가 지구 외 행성에서 '제어가 되는 동력체'를 비행시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NASA에 따르면 시험비행은 이륙 후 초속 1m의 속력으로 약 3m 높이까지 상승해 30초간 정지비행을 하고 착륙하는 방식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인저뉴어티는 높이 약 49㎝로, 질량은 지구에서는 1.8㎏이지만 중력이 지구의 3분의 1인 화성에서는 0.68㎏에 불과한 작은 비행체다.

인저뉴어티 시험비행은 1903년 라이트 형제가 인류 최초 동력 비행에 성공한 일과 비견된다.

당시 사용된 플라이어 1호기 조각이 이번 시험 비행 성공을 기원하는 의미로 인저뉴어티에 부착되기도 했다.

화성에서 비행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대기 밀도가 지구의 100분의 1수준에 불과, 공기 힘으로 양력을 만들어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저뉴어티는 탄소섬유로 만든 날개 4개가 보통 헬기보다 8배 정도 빠른 분당 2천400회 안팎 회전하도록 설계됐다.

뉴욕타임스(NYT)는 "화성 표면에서 이륙하는 것은 지구에서 고도 10만피트(약 30㎞)로 비행하는 것과 비교할만하다"고 설명했다.

NASA는 인저뉴어티를 만드는 데 8천500만달러(약 950억3천만원)를 들였다.

인저뉴어티에는 과학자료를 수집하는 기능이나 과학기구는 실려 있지 않고 휴대전화 등에 사용되는 부품들로만 채워졌다.

'화성에서 동력 비행이 가능한가'를 실증하는 것이 목표였기 때문이다.

지난 1997년 화성을 돌아다니며 '탐험'하는 시대를 연 첫 탐사 로버 '소저너'와 같은 역할을 하늘에서 해줄 비행 로봇을 만들 수 있는 길을 인저뉴어티가 열어준다는 것이다.

NASA는 "인저뉴어티는 화성에서 비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실증하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졌다"면서 "해당 기술들은 더 진보된 로봇 비행체가 나올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