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이란 억류 한국 선박·선장 95일만에 풀려나…"건강 양호"

입력 2021-04-09 11:01:40 수정 2021-04-09 11:33:30

이란 정부가 지난 1월 4일부터 억류했던 한국 화학 운반선
이란 정부가 지난 1월 4일부터 억류했던 한국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호 나머지 선원과 선장의 억류를 해제했다. 사진은 나포 후 이란항 향하는 '한국케미'호가 CCTV에 찍힌 모습. 연합뉴스

이란 정부가 한국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호와 선장을 억류 95일만에 석방했다.

외교부는 "이란 당국에 의해 억류돼 이란 반다르압바스 항 인근 라자이 항에 묘박 중이던 우리 국적 선박(한국케미호)과 동 선박의 선장에 대한 억류가 오늘 해제됐다"고 9일 밝혔다.

선박은 현지 행정절차를 마치고 이날 오전 10시 20분(한국시간) 무사히 출항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선장 및 선원들의 건강은 양호하며, 화물 등 선박의 제반 상황도 이상이 없다.

앞서 지난 1월 4일 호르무즈 해협의 오만 인근 해역을 지나던 한국케미호는 이란 혁명수비대에 의해 나포됐다. 나포 이유는 '환경오염'이었다.

하지만 이란 측은 환경오염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고, 한국과 이란 정부 양측 모두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지만 동결자금이 나포 이유라는 데 무게가 실렸다.

이란은 지난 2010년부터 이란 중앙은행(CBI) 명의로 한국의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에 원화 계좌를 개설하고 이를 통해 원유 수출 대금을 받아왔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2018년 이란 핵합의 탈퇴를 공식 선언하고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를 가하면서 해당 계좌가 동결됐다. 국내 은행에 묶인 이란 자금은 70억달러(약 7조6000억원) 수준이다.

정부는 한국케미호 선박과 선장, 선원의 석방을 위해 이란과 외교전을 펼쳐 왔고, 지난 2월2일 이란이 선장과 선박을 제외한 선원 19명을 석방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선박 유지에 필요한 필수인력으로 인해 당초 승선 선원 20명 중 우리 국적 선원 2명을 포함해 9명만 귀국했고, 대체인원 2명이 파견됐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