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홍콩 이주민 정착에 662억원 지원

입력 2021-04-08 17:15:50

영국해외시민비자로 입국 허용, 5년간 거주시 영국 시민권 신청 가능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5일(현지시간) 런던 다우닝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관해 화상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존슨 총리는 12일부터 비필수 상점의 영업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식당·술집은 실외 영업만 할 수 있다. 연합뉴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5일(현지시간) 런던 다우닝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관해 화상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존슨 총리는 12일부터 비필수 상점의 영업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식당·술집은 실외 영업만 할 수 있다. 연합뉴스

중국의 홍콩 옥죄기가 지속하는 가운데 영국이 홍콩 국가보안법을 피해 자국으로 건너온 홍콩인의 정착에 4천300만 파운드(약 662억 원)를 지원하기로 했다.

8일(현지 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영국해외시민(BNO) 비자로 입국한 홍콩인이 일자리를 찾고 살 집을 마련하는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4천300만 파운드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 중 3천650만 파운드가 영어 교육과 주거 지원에 투입되며 500만 파운드는 의료 서비스 등 일상생활 관련 지원 업무를 담당할 지역 사무소 출범에 사용된다. 도미닉 라브 영국 외무장관은 이번 계획이 사회 통합을 위한 중요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잎서 중국 정부가 지난해 홍콩보안법 제정을 밀어붙이자 영국은 "중국이 일국양제를 위반했다"고 비판하며 홍콩인 수용에 적극 나섰다. 지난 1월 말부터 영국 정부는 BNO 여권을 가진 홍콩인에 한해 비자 발급 신청을 받아 영국에 5년간 거주한 뒤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BNO 여권은 지난 100년간 홍콩을 실질 지배하고 있던 영국이 지난 1997년 중국에 반환하기 전 홍콩 주민이 소지했던 '영국부속영토시민(BDTC)' 여권을 대체한 것이다. 홍콩 인구 750만 명의 72%인 540만 명이 BNO를 소지했거나 소지한 사람의 가족이다.

영국 정부가 홍콩의 민주화 시위를 이끈 인사 중 한 명인 네이선 로의 정치적 망명을 허용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2014년 조슈아 웡 등과 함께 대규모 홍콩 도심 시위를 주도했던 로는 지난해 7월 영국으로 피신했다. 사진은 로가 2017년 10월 24일 홍콩의 최고법원인 종심법원에서 보석이 허가된 뒤 취재진과 인터뷰하는 모습. 연합뉴스
영국 정부가 홍콩의 민주화 시위를 이끈 인사 중 한 명인 네이선 로의 정치적 망명을 허용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2014년 조슈아 웡 등과 함께 대규모 홍콩 도심 시위를 주도했던 로는 지난해 7월 영국으로 피신했다. 사진은 로가 2017년 10월 24일 홍콩의 최고법원인 종심법원에서 보석이 허가된 뒤 취재진과 인터뷰하는 모습. 연합뉴스

영국의 전폭적인 지원에 자국을 떠나는 홍콩인도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 1월 이후 지난달 19일까지 영국 비자를 신청한 홍콩인은 2만 7천명에 달한다. 영국 정부는 향후 5년간 비자를 신청하는 홍콩인이 최대 32만 2,000명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영국 정부는 이날 홍콩 민주화 시위의 주역인 네이선 로의 정치적 망명을 허용하기도 했다. 홍콩보안법 제정 이후 지난해 7월 영국으로 피신한 로는 같은 해 12월 영국에 공식적으로 망명 신청을 한 바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