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7월에 또 조직 개편?…"행정업무 '누수' 심각"

입력 2021-04-07 17:21:45 수정 2021-04-07 21:36:28

장세용 시장 취임 후 3번째…4천만원 들인 조직 개편, 얼마 됐다고
일부 국·과는 폐지·신설 반복돼 직원들 간 업무 혼란
市 "산업 구조 변화 따른 대응"

경북 구미시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 구미시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 구미시의 잦은 조직개편 시도가 행정업무 누수를 초래하고 직원들의 업무 분장에 혼란을 준다는 지적이 나온다.

구미시는 지난달 말 '행정기구 설치 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을 입법 예고해 이르면 7월부터 행정조직을 대폭 바꾸기로 했다. 2019년 1월 '6국 3담당관 35과 1추진단'으로 개편한 뒤 2년 6개월 만이다.

이번 개편안에는 ▷경제기획국→경제노동국 ▷도시환경국→도시건설국 ▷건설교통국→환경교통국으로 명칭과 업무를 변경하는 내용이 들어있다.

아울러 ▷스마트산단과 ▷체육시설관리과 ▷환경관리과가 신설되고, 미래전략담당관은 폐지되면서 기획예산담당관으로 흡수되며, 원평1동과 원평2동을 원평동으로 통합되는 방안도 포함돼 있다.

앞서 구미시는 잦은 조직 개편으로 구미시의회와 마찰을 빚어왔다. 구미시는 2018년 7월 장세용 구미시장 취임 후 용역비 4천여만원을 들여 1국 8개과를 신설하는 조직개편안을 같은 해 10월 입법 예고했다.

당시 구미시는 새마을과 폐지를 비롯해 1실 4국을 6국으로 늘리는 행정기구 설치 조례 개정안을 시의회에 상정했다. 그러나 새마을과 폐지를 둘러싼 보수 측의 거센 반발로 진통을 겪다가 결국 새마을과를 그대로 두는 절충안을 마련했고, 우여곡절 끝에 시의회를 통과했다.

지난해 하반기에도 '12국 90과 333담당'인 구미시 직제를 '12국 92과 338담당'으로 바꾸는 것을 골자로 하는 조직 개편안을 마련했지만 시의회 반발로 무산됐다.

이로 인해 이번 개편안에 대한 시선도 곱지 않다.

구미시의회 A시의원은 "4천여만원을 들여 조직개편한 지 얼마나 됐다고 다시 조직개편이냐"면서 "잦은 조직개편으로 시청 직원들조차 자신의 업무 범위가 정확하게 어디까지인지를 모르는 경우가 벌어진다고 한다. 결국 민원인들이 업무처리를 위해 여러 부서를 방문해야 하는 등 행정업무 누수가 심각하다"고 꼬집었다.

구미시 관계자는 "시민 중심의 효율·생산적인 업무 추진과 함께 급변하는 경제·산업구조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조직개편이 필요하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