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대변인 "6~9개월 전 알았던 것 이상의 내용 없어"
조사지연, 데이터 접근제한 지적 잇따라…중국 "사안 정치화 말라"
세계보건기구(WHO)가 중국 우한(武漢)에서 현장조사까지 한 뒤 최근 발표한 코로나19 기원 조사에 대한 보고서를 놓고 후폭풍이 계속 일고 있다. 조사가 중국의 비협조로 지나치게 지연된 데다 기원 규명에 필요한 데이터나 샘플 등의 투명성과 접근성도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AP통신에 따르면 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바이든 행정부가 WHO 보고서를 검토 중이라면서도 중요한 데이터와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례브리핑에서 "보고서 내용이 코로나19 팬데믹이 세상에 미친 영향의 수준에 걸맞지 않다"며 "우리가 6~9개월 전에 알았던 것보다 (코로나19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이해하도록 해주지는 않는다"고 평가했다.
WHO 전문가팀은 지난 1~2월 한 달간 코로나19 발병이 처음 보고된 중국 우한에서 연구를 진행한 뒤 바이러스가 중간 동물 숙주를 거쳐 인간에게 전염됐을 가능성이 높고, 실험실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내용 등을 담은 연구 보고서를 이날 발표했다.
미 국무부는 다른 13개국과 함께 발표한 성명에서 코로나19의 기원과 사람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된 경로에 대한 동물시험 등 추가적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을 비롯해 한국, 일본 등 14개국은 공동성명에서 "SARS-CoV-2(코로나19 바이러스)의 근원에 대한 국제 전문가의 연구가 상당히 지연되고, 완전한 원자료와 샘플에 대한 접근이 부족했다는 점에 대해 공통으로 우려한다"고 밝혔다. 유럽연합(EU)도 성명에서 중국 현지조사가 지연되고 샘플과 데이터 접근성이 제한된 점은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보였다.
중국은 자신들이 조사에 제대로 협조하지 않았다는 지적에 강하게 반발했다. 중국 외교부는 웹사이트에 게시한 입장문에서 중국은 개방되고 투명하며 책임 있는 자세로 WHO에 협조했다면서 "이 문제를 정치화하는 행위는 협력을 방해하고 방역 노력을 파괴해 더 큰 손실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WHO 조사팀장도 중국으로부터 보고서를 바꾸라는 압박 같은 것은 없었다고 밝혔다. WHO의 식품안전·동물질병 전문가인 피터 벤 엠바렉 박사는 브리핑에서 팀원들이 "모든 면에서 정치적 압력에 직면했다"면서도 "보고서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삭제하라는 압박을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일부 자료의 공유를 막는 중국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지적하면서도 "이러한 제한은 다른 많은 나라에도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